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작품 == '''소드 아트 온라인'''(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은 작가 [[카와하라 레키]]가 지은 [[라이트 노벨]] 작품과,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코믹스]], [[애니메이션]] 등의 미디어 믹스를 말한다. 이 작품은 드물게 온라인 게임상의 이야기를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목 <소드 아트 온라인>은 바로 작품 속에 나오는 온라인 게임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약어로는 '''SAO'''(Sword Art Online의 준말)를 사용한다. 작가에 의하면 이 작품은 자신이 직접 플레이했던 게임 '울티마 온라인'과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출처 필요}} == 줄거리 == "이것은 게임이지만 놀이가 아니다." 2022년. 한 전자기기 메이커가 '너브 기어'라는 가상 공간 접속기를 개발해 세계는 완전한 버추얼 리얼리티를 실현시킨다. 주인공 '''키리토'''는 너브 기어를 사용한 VRMMORPG 게임 <소드 아트 온라인>의 플레이어다. 운 좋게 베타 테스터로도 뽑혔던 키리토는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클라인'''과 함께 정규판 SAO의 세계를 만끽하고 있었다. 그러나 베타 테스트 때에는 확실히 가능했던 '로그아웃'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차린 직후, 게임 시작 지점으로 소환된 약 1만 명의 SAO 플레이어들은 게임 마스터에게 튜토리얼을 듣게 된다. SAO의 게임 디자이너인 카야바 아키히코의 이름을 자칭한 게임 마스터는 SAO의 무대 '아인크라드'의 최상층인 100층의 보스를 쓰러뜨려 게임을 클리어 하는 것만이 로그아웃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게임에서 사망하거나, 현실세계에서 너브 기어를 강제적으로 풀려고 하면 너브 기어가 고출력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뇌를 파괴시킨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었다. 그로부터 2년 후, '아인크라드'의 최전선은 74층. 플레이어는 대략 6천명까지 줄어들었다. == 등장인물 == {{참조|소드 아트 온라인/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키리토 |이름+@ = [[키리가야 카즈토|키리토]] |이름/일어 = キリト |이름2 = 키리가야 카즈토 |이름2/일어 = 桐ヶ谷 和人 |CV = [[마츠오카 요시츠구]] |설명 = }} {{등장인물 |이름 = 아스나 |이름+@ = [[유우키 아스나|아스나]] |이름/일어 = アスナ |CV = [[토마츠 하루카]] |설명 = }} {{등장인물 |이름 = 유이 |이름+@ = [[유이 (소드 아트 온라인)|유이]] |이름/일어 = ユイ |CV = [[이토 카나에]] |설명 = }} {{등장인물 |이름 = 리파 |이름+@ = [[리파]] |이름/일어 = リーファ |CV = [[타케타츠 아야나]] |설명 = }} {{등장인물 |이름 = 시논 |이름+@ = [[시논]] |이름/일어 = シノン |CV = [[사와시로 미유키]] |설명 = }} == 용어 == == 라이트 노벨 (원작) == {{정보상자/라이트 노벨 |제목 = 소드 아트 온라인 |제목/일어 =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제목/영어 = Sword Art Online |장르 = 판타지, 액션, VRMMORPG, 사이버펑크 |연재시작/년 = 2009 |연재시작/월 = 4 |연재시작/일 = |연재종료/년 = |연재종료/월 = |연재종료/일 = |글 = [[카와하라 레키]] |그림 = [[abec]] |출판사 = 아스키 미디어 웍스 |레이블 = [[전격 문고]] |권수 = 10권 |완결/미완결 = 미완결 |공식사이트 = <!-- 국내 출판정보 --> |국내명 = 소드 아트 온라인 |국내출판시작/년 = |국내출판시작/월 = |국내출판시작/일 = |국내출판종료/년 = |국내출판종료/월 = |국내출판종료/일 = |출판사/국내 = 서울문화사 |레이블/국내 = J노블 |번역 = 김완 |권수/국내 = 9권 |공식사이트/국내 = }} <소드 아트 온라인>은 [[카와하라 레키]]가 2002년 전격 게임 소설 대상 응모용으로 집필했던 장편 소설을 쿠노리 후미오(九里 史生)라는 펜네임으로 자신의 웹 사이트에 게재했던 것이 그 출발점이다. 주로 온라인 작가로 활동하던 카와하라는 2008년에 <[[액셀 월드]]>로 제15회 전격 소설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이 때 SAO를 읽은 담당 편집자의 제안을 받고 [[전격 문고]]에서 이를 상업 작품으로 간행하게 된다.<ref>한편, 정식 한국어 번역판의 대담에 따르면, 전격 소설 대상 수상 전 서울문화사로부터 온라인판의 대한민국 정식 발행을 제안받았다고 한다.</ref> 상업화 때는 인터넷 판의 내용과 표현에 수정이 되어 간행되고 있다. 작가의 웹사이트에 연재 되었던 본 시리즈는 상업화 결정 이후 웹 사이트에는 더 이상 연재하고 있지 않다. === 단행본 === 카와하라 레키 글, abec 그림. 2009년 4월부터 전격 문고(아스키 미디어 웍스)에서 발간하고 있으며, 총 7권이 발간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문화사가 정식 수입해 출판하고 있다. 역자는 김완. * 소드 아트 온라인 1 아인크라드 ** {{국기|일본}} 2009년 4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67760-8 ** {{국기|한국}} 2009년 12월 10일 발매 / ISBN 9788926310878 * 소드 아트 온라인 2 아인크라드 ** {{국기|일본}} 2009년 8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67935-0 ** {{국기|한국}} 2010년 3월 10일 발매 / ISBN 9788926321010 * 소드 아트 온라인 3 페어리 댄스 ** {{국기|일본}} 2009년 12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68193-3 ** {{국기|한국}} 2010년 6월 10일 발매 / ISBN 9788926314609 * 소드 아트 온라인 4 페어리 댄스 ** {{국기|일본}} 2010년 4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68452-1 ** {{국기|한국}} 2010년 12월 10일 발매 / ISBN 9788926320846 * 소드 아트 온라인 5 팬텀 불릿 ** {{국기|일본}} 2010년 8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68763-8 ** {{국기|한국}} 2011년 3월 10일 발매 / ISBN 9788926322505 * 소드 아트 온라인 6 팬텀 불릿 ** {{국기|일본}} 2010년 12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70132-7 * 소드 아트 온라인 7 마더스 로자리오 ** {{국기|일본}} 2011년 4월 10일 발매 / ISBN 978-4-04-870431-1 == 코믹스 == {{정보상자/코믹스 |제목 = 소드 아트 온라인 |제목/일어 =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제목/영어 = Sword Art Online |장르 = 판타지, 액션, VRMMORPG, 사이버펑크 |연재시작/년 = 2010 |연재시작/월 = 8 |연재시작/일 = |연재종료/년 = |연재종료/월 = |연재종료/일 = |연재잡지 = 전격 문고 매거진 |원작 = [[카와하라 레키]] |그림 = [[나카무라 타마코]] |출판사 = 아스키 미디어 웍스 |레이블 = |권수 = |완결/미완결 = |공식사이트 = <!-- 국내 출판정보 --> |국내명 = |국내출판시작/년 = |국내출판시작/월 = |국내출판시작/일 = |국내출판종료/년 = |국내출판종료/월 = |국내출판종료/일 = |출판사/국내 = |레이블/국내 = |번역 = |권수/국내 = |공식사이트/국내 = }} [[카와하라 레키]]의 라이트 노벨을 토대로 만화작가 [[나카무라 타마코]]가 구성한 코믹스. 2010년 9월호부터 전격 문고 매거진에서 연재되고 있다. == 라디오 == == TV 애니메이션 == {{정보상자/애니메이션 |구분 = TV 애니메이션 |제목 = 소드 아트 온라인 |제목/일어 =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제목/영어 = Sword Art Online |장르 = 판타지, 액션, VRMMORPG, 사이버펑크 |방영시작/년 = 2012 |방영시작/월 = 7 |방영시작/일 = 7 |방영종료/년 = 2012 |방영종료/월 = 12 |방영종료/일 = 12 |원작 = [[카와하라 레키]] |감독 = 이토 토모히코 |구성 = |각본 = 키자와 유키히토 외 5명 |연출 = |캐릭터 디자인 = 아다치 신고, 카와카미 테츠야 (보조) |음악 = [[카지우라 유키]] |제작사 = [[A-1 Pictures]] |화수 = 25화 |공식사이트 = http://www.swordart-online.net/ <!-- 국내 방영정보 --> |국내명 = |국내방영시작/년 = |국내방영시작/월 = |국내방영시작/일 = |국내방영종료/년 = |국내방영종료/월 = |국내방영종료/일 = |수입사 = |공식사이트/국내 = }} === 에피소드 === === 주제가 === === 엔드카드 === == 게임 ==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모멘트- == 드라마 CD == == 주석 == <references /> == 관련 사이트 == ;라이트 노벨 *{{언어|일}} [http://wordgear.x0.com/ 작가 본인의 <소드 아트 온라인> 관련 사이트] ;애니메이션 *{{언어|일}} [http://www.swordart-online.net/ TV 애니메이션 <소드 아트 온라인> 공식 사이트] *{{언어|일}} [https://twitter.com/sao_anime TV 애니메이션 <소드 아트 온라인> 공식 트위터 (@sao_anime)] *{{언어|일}} [https://www.facebook.com/swordartonline.jp TV 애니메이션 <소드 아트 온라인> 공식 페이스북] ;게임 *{{언어|일}} [http://swordart-online-game.channel.or.jp/ PSP 게임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모멘트-> 공식 사이트] ;라디오 *{{언어|일}} [http://hibiki-radio.jp/description/sao 라디오 <소드 아트 온 에어> 공식 사이트] [[분류:라이트 노벨]] [[분류:코믹스]] [[분류:라디오]] [[분류:애니메이션]] [[분류:드라마 CD]] [[분류:소드 아트 온라인]] 편집 요약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편집) 틀:Icon (편집) 틀:Skin (편집) 틀:ㅊ (편집) 틀:각주 (편집) 틀:간이 정보 (편집) 틀:국기그림 (편집) 틀:국기그림/구현 (편집) 틀:나라자료 대한민국 (편집) 틀:나라자료 일본 (편집) 틀:날짜 (편집) 틀:날짜/출력 (편집) 틀:둘러보기 상자 (편집) 틀:둘러보기 상자/중첩 (편집) 틀:둘러보기 상자/핵심 (편집) 틀:라이트 노벨 (편집) 틀:루비 (편집) 틀:배지 (편집) 틀:본문 (편집) 틀:빈 문단 (편집) 틀:소드 아트 온라인 (편집) 틀:웹 인용 (편집) 틀:정보상자 (편집) 틀:정보상자/styles.css (편집) 틀:정보상자/행 (편집) 틀:틀바 (편집) 틀:팻말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