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게시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2019년 중화인민공화국 우한 폐렴'''은 2019년 12월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시에서 집단발병한 폐렴 사건이다. ==역사== 2019년 12월 12일,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화난수산시장 근로자에게 이날 최초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9년 12월 31일,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 당국이 폐렴 집단 발병 사실을 발표했다. 우한 폐렴의 최초 발생지는 수백명의 생명을 앗아간 [[사스]]와 마찬가지로 재래시장이다. [[우한 수산물시장]]에서 발생했다. 19일이나 지난 31일에야 우한 폐렴 발생 사실을 외부에 알리면서 주변국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2020년 1월 10일, 우한 위생당국은 우한 폐렴에 의한 사망자가 처음으로 나왔다고 공식 발표했다. 사망자는 60대 남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우한 폐렴으로 보고된 환자는 모두 59명이며, 7명이 심각한 상태였는데, 이 중 한명이 숨졌다고 당국은 밝혔다. 1월 12일, 저녁 선전 남산구 인민병원에서 중증 폐렴 환자가 보고됐다. 광둥성 선전에서 중증 폐렴 환자가 처음 발생했다. 그러나 선전시 당국은 여자 환자가 선전시에만 거주하며 외지에 가보지 않았고, 유사 환자와 접촉한 적도 없어서 우한 폐렴은 아니라고 밝혔다. 1월 12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MRC 연구팀은 중국에서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공식 발표보다 40배 정도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중국 국내외에서 보고된 감염자 수와 우한 인구, 공항 수용 규모 및 해외 여행객 수, 바이러스 잠복기 등을 감안한 결과, 1월 12일 기준으로 총 1723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2002년 [[사스]] 당시, 중국에서 5328명이 감염되었다. 1월 13일, 한국 [[질병관리본부]]는 중화인민공화국 [[푸단 대학교]]를 통해 입수한 우한시 집단폐렴 원인 병원체인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발생한 집단 폐렴의 병원체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병원체로 지목된 박쥐의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약 89% 유사한 성질을 보였다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월 13일, [[WHO]]는 성명을 통해 "폐렴 발병이 화난 해산물 시장 한 곳에 국한돼 있으며,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예비 역학조사 결과 발병자의 대부분이 이 시장에서 일하거나 방문객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단계에서는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들의 감염 사례가 나오지 않았다. 사람 간 전염에 대한 명확한 증거도 없다"고 설명했다. 만약 강력한 인간대 인간의 전염력이 있다면, 의료진이 독감에 걸리는 것이 보통이다. 1월 13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사이트에 게재한 성명에서 "중국에 이어 태국에서도 '우한 폐렴'의 원인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1월 15일, 최근 우한시를 방문했던 가나가와(神奈川)현 거주 중국 국적의 30대 남성 1명이 폐렴 증상을 호소해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서 바이러스 조사를 받았다. 조사 결과는 15일에 나왔는데, 우한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이 남성은 우한을 여행 중이던 지난 3일 발열이 시작돼 6일 일본에 귀국한 뒤 폐렴 증상으로 입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치료를 받고 증상이 회복됐으며 15일 퇴원해 현재는 자택에서 요양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월 15일,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폐렴으로 60대 남성이 사망했다. 이에 따라 일명 '우한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는 2명으로 늘어났다. 원래 코로나바이러스는 독감균이 아니라 가벼운 감기균으로, 사망하는 일이 없다. 중국에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특이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가 유일했다. 1월 19일,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하루 만에 17명이 늘어나면서 전체 환자 수가 62명으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월 20일, 한국에서 처음으로 우한 폐렴에 걸린 환자가 최초로 나왔다.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린 사람은 30대 중국 여성으로 중국에서 감염되어 한국에 왔다.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올렸다. 하루만에 중국의 우한 폐렴 환자 수가 100명이 넘었다. 20일 기준 중국 내 우한 폐렴 확진자는 201명이다. 우한시에서 198명, 베이징에서 2명, 선전에서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바이러스== 우한 폐렴의 병원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라고 밝혀졌다. [[:en:Novel coronavirus (2019-nCoV)]] 참조. 원래 독감이 아니라 일반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에 하나가 코로나바이러스이다. 즉, 보통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는 독감을 일으키지 않고 가벼운 감기만 일으키는 병원체이다. 그런데, 특이한 경우가 중화인민공화국 [[사스]]와 중동 [[메르스]]였다. 강력한 인간 대 인간의 전염력과 높은 치사율의 독감이었다. 이번 우한 폐렴도 일반 감기의 병원균인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려 독감으로 위독한 상태에 빠지는 점에서, 사스와 메르스급의 강력한 코로나바이러스로 밝혀졌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약한 코로나바이러스가 거의 대부분인데, 이번 우한 폐렴은 사스와 같은 강력한 코로나바이러스로 밝혀진 것이다. == 전염성 == 리강(李剛) 우한시 질병예방통제센터 주임은 중국 [[CCTV]] 인터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염성은 강하지 않다."고 말했지만, 전염성이 상당히 강력한 것으로 후속보도가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아직은 사람 간 감염 사례가 없는 것으로 봤을 때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집단 발병한 폐렴의 전염성이 강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발표 이후에 사람 간 감염 사례가 엄청나게 많이 발생했다. 중화권 이외에서 발생한 첫 환자인 태국 폐렴 환자가 우한폐렴의 진원지인 우한시장을 방문하지 않았는데도 감염돼 우한폐렴이 예상보다 전염성이 강한 것 같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월 15일 보도했다. 원래 코로나바이러스는 약한 감기균인데, 2002년 중국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이 죽을 정도로 강력한 독감균이었다. 전염성도 매우 강했다. 그런데 2019년 발생한 우한폐렴의 코로나바이러스도 사람이 죽을 정도로 강력한 독감균이다. 그런데 전염성은 없거나 약하다는 추정은, 상싱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다. ==더 보기== *[[코로나바이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 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 - 중동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각주== {{각주}} [[분류: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편집 요약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유행 (편집) 틀:Bibcode (편집) 틀:COVID-19 (편집) 틀:Doi (편집) 틀:ISSN 찾기 링크 (편집) 틀:Str left (편집) 틀:각주 (편집) 틀: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편집) 틀:날짜 (편집) 틀:날짜/출력 (편집) 틀:뉴스 인용 (편집) 틀:다른 뜻 3 (편집) 틀:범례 (편집) 틀:본문 (편집) 틀:사건 정보 (편집) 틀:웹 인용 (편집) 틀:위키공용분류-줄 (편집) 틀:인쇄 숨김 (편집) 틀:인쇄 포함 (편집) 틀:저널 인용 (편집) 틀:최신 (편집) 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세계 (편집) 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중화인민공화국 (편집) 모듈:Citation/CS1 (편집) 모듈:Citation/CS1/COinS (편집) 모듈:Citation/CS1/Configuration (편집) 모듈:Citation/CS1/Date validation (편집) 모듈:Citation/CS1/Identifiers (편집) 모듈:Citation/CS1/Utilities (편집) 모듈:Citation/CS1/Whitelist (편집) 모듈:Date2 (편집) 모듈:ISOdate (편집) 모듈:Langname/data (편집) 모듈:Yesno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