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참조
{{하위 문서
  |문서1 = /애니메이션 |설명1 = 애니메이션 & 라디오
  |애니메이션|변수1=애니메이션 & 라디오
  |문서2 = /게임 |설명2 = 게임
  |게임}}
}}


== 작품 ==
== 작품 ==
[[파일: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png|썸네일|276px|작품의 공식 로고]]
[[파일: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png|thumb|276px|작품의 공식 로고]]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원|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는 [[후시미 츠카사]]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품,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코믹스]], [[드라마 CD]], [[애니메이션]] 등 관련 매체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공식 약칭은 '''내 여동생'''{{원|俺の妹, 오레노 이모토}}이지만,<ref name="closeup081017">CloseUp NetTube - 후시미 츠카사, 오하라 잇테츠 & 미키 카즈마 인터뷰, 2008년 10월 17일.</ref><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28697582609 "사실 공식적인 약칭은 늘 '오레노 이모토'였습니다."]미키 카즈마의 트위터 중에서. 2010년 10월 25일.</ref> 흔히 '''오레이모'''{{원|俺妹}}라고 줄여 불리고 있다.<ref>[http://www.oreimo-anime.com/news/index.html#n100927 오레이모×금서목록 콜라보레이션 광고],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애니플렉스, 2010년 9월 27일.</ref><ref>원작,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의 도메인 등으로 고지되었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북미판에 'Oreimo'라는 단어가 사용된 적이 있다.</ref>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는 [[후시미 츠카사]]가 2008년부터 연재중인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품,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코믹스]], [[드라마 CD]], [[애니메이션]] 등 관련 매체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공식 약칭은 '''내 여동생'''(俺の妹, 오레노 이모토)이지만,<ref name="closeup081017">CloseUp NetTube - 후시미 츠카사, 오하라 잇테츠 & 미키 카즈마 인터뷰, 2008년 10월 17일.</ref><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28697582609 "사실 공식적인 약칭은 늘 '오레노 이모토'였습니다."]미키 카즈마의 트위터 중에서. 2010년 10월 25일.</ref> 흔히 '''오레이모'''(俺妹)라고 줄여 불리고 있다.<ref>[http://www.oreimo-anime.com/news/index.html#n100927 오레이모×금서목록 콜라보레이션 광고],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애니플렉스, 2010년 9월 27일.</ref><ref>원작,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의 도메인 등으로 고지되었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북미판에 'Oreimo'라는 단어가 사용된 적이 있다.</ref>


본 작품은 세련되고 고집센 성격이지만 몰래 오타쿠 취미를 즐겨 온 여동생, 그리고 여동생과 사이가 나쁜 오빠가 동생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여동생의 '인생상담(오타쿠 취미에 대한 각종 고민)' 상대가 되어 고민 해결을 위해 분투하는 과정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가 변하는 모습을 그린 홈 코미디 작품이다.
본 작품은 세련되고 고집센 성격이지만 몰래 오타쿠 취미를 즐겨 온 여동생, 그리고 여동생과 사이가 나쁜 오빠가 동생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여동생의 '인생상담(오타쿠 취미에 대한 각종 고민)' 상대가 되어 고민 해결을 위해 분투하는 과정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가 변하는 모습을 그린 홈 코미디 작품이다.
15번째 줄: 14번째 줄:
: 원작 라이트 노벨은 작가 [[후시미 츠카사]]와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가 구성하며, [[전격 문고]] 레이블(출판사는 아스키 미디어 웍스)을 통해 2008년 8월부터 단행본을 발매하기 시작해서 현재 10권까지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누적 판매량은 다음과 같은 통계를 기록하고 있다.
: 원작 라이트 노벨은 작가 [[후시미 츠카사]]와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가 구성하며, [[전격 문고]] 레이블(출판사는 아스키 미디어 웍스)을 통해 2008년 8월부터 단행본을 발매하기 시작해서 현재 10권까지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누적 판매량은 다음과 같은 통계를 기록하고 있다.
:* 2010년 5월 : 120만 권 ([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00513.pdf 웹문서(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0년 5월 13일)
:* 2010년 5월 : 120만 권 ([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00513.pdf 웹문서(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0년 5월 13일)
:* 2010년 12월 : 280만 권 ([[전격 문고]] MAGAZINE Vol.17, 2011년 1월호)
:* 2010년 12월 : 280만 권 (전격 문고 MAGAZINE Vol.17, 2011년 1월호)
:* 2012년 4월 : 370만 권 ([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20410a.pdf 웹문서(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2년 4월 10일)
:* 2012년 4월 : 370만 권 ([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20410a.pdf 웹문서(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2년 4월 10일)
: 한국에는 2009년 6월부터 대원씨아이가 정식 수입발매를 시작해서, 단행본이 현재 9권까지 발매되어 있다. 번역은 유정한이 담당했다.
: 한국에는 2009년 6월부터 대원씨아이가 정식 수입발매를 시작해서, 단행본이 현재 9권까지 발매되어 있다. 번역은 유정한이 담당했다.
26번째 줄: 25번째 줄: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2010년에는 첫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된다. 제1기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TV 방영 12화 + 인터넷 방영 4화 총 16화<ref>단, 공식 사이트상의 표기를 따르면 '''총 15화'''이다. 분기점 역할을 하는 '제12화 굿엔드'와 '제12화 트루 루트'는 중복해서 계산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ref>로 짜여져 있으며, 2010년 10월 3일부터 12월 16일까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제2기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TV 방영 13화 + 인터넷 방영 3화 총 16화로 구성되어 2013년 4월 6일부터 방영을 시작해 8월 18일에 완결되었다.
: 2010년에는 첫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된다. 제1기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TV 방영 12화 + 인터넷 방영 4화 총 16화<ref name="1기-15화">단, 공식 사이트상의 표기를 따르면 '''총 15화'''이다. 분기점 역할을 하는 '제12화 굿엔드'와 '제12화 트루 루트'는 중복해서 계산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ref>로 짜여져 있으며, 2010년 10월 3일부터 12월 16일까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제2기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TV 방영 13화 + 인터넷 방영 3화 총 16화로 구성되어 2013년 4월 6일부터 방영을 시작해 8월 18일에 완결되었다.


; [[/애니메이션#라디오|라디오]]
; [[/애니메이션#라디오|라디오]]
43번째 줄: 42번째 줄: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 라노베판으로 캐릭터 이미지 교체 필요 -->
<!-- 라노베판으로 캐릭터 이미지 교체 필요 -->
{{참조|/등장인물}}
{{참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등장인물}}
{{안내|다음은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코우사카 남매와, 주요 히로인들의 일람입니다.}}
{{안내|다음은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코우사카 남매와, 주요 히로인들의 일람입니다.}}


64번째 줄: 63번째 줄:
  |이름@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ref>등장 때부터 줄곧 쿠로네코라는 이름을 썼지만, 라이트 노벨 제5권에서 본명이 밝혀진다.</ref>
  |이름@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ref>등장 때부터 줄곧 쿠로네코라는 이름을 썼지만, 라이트 노벨 제5권에서 본명이 밝혀진다.</ref>
  |이름/일어 = 黒猫
  |이름/일어 = 黒猫
  |이름2 = 고코우 루리
  |이름2 = 고코우 루리
  |이름2/일어 = 五更 瑠璃
  |이름2/일어 = 五更 瑠璃
  |CV = [[하나자와 카나]]
  |CV = [[하나자와 카나]]
73번째 줄: 72번째 줄:
  |이름@ = [[사오리 버지나]]
  |이름@ = [[사오리 버지나]]
  |이름/일어 = 沙織・バジーナ
  |이름/일어 = 沙織・バジーナ
  |이름2 = 마키시마 사오리
  |이름2 = 마키시마 사오리
  |이름2/일어 = 槇島 沙織
  |이름2/일어 = 槇島 沙織
  |CV = [[나바타메 히토미]]
  |CV = [[나바타메 히토미]]
90번째 줄: 89번째 줄:
  |이름/일어 = 来栖 加奈子
  |이름/일어 = 来栖 加奈子
  |CV = [[타무라 유카리]]
  |CV = [[타무라 유카리]]
  |설명 = 키리노와 아야세의 동년배 친구이자 아이돌 지망생. 키리노의 취미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으며, 오타쿠를 흔히 깔보곤 한다. 그러나 우연한 계기로 키리노가 푹 빠져있는 애니메이션 <[[스타더스트☆위치 메루루]]>의 공식 코스플레이어로 지정된다.
  |설명 = 키리노와 아야세의 동년배 친구이자 아이돌 지망생. 키리노의 취미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으며, 오타쿠를 흔히 깔보곤 한다. 그러나 우연한 계기로 키리노가 푹 빠져있는 애니메이션 <스타더스트☆위치 메루루>의 공식 코스플레이어로 지정된다.
}}
}}
{{등장인물
{{등장인물
124번째 줄: 123번째 줄:
  |국내출판시작/월 = 6
  |국내출판시작/월 = 6
  |국내출판시작/일 = 10
  |국내출판시작/일 = 10
  |국내출판종료/년 = 2013
  |국내출판종료/년 =  
  |국내출판종료/월 = 11
  |국내출판종료/월 =  
  |국내출판종료/일 = 15
  |국내출판종료/일 =  
  |출판사/국내 = 대원씨아이
  |출판사/국내 = 대원씨아이
  |레이블/국내 = NT Novel
  |레이블/국내 =  
  |번역 = 유정한
  |번역 = 유정한
|권수/국내 = 12권
  |공식사이트/국내 =  
  |공식사이트/국내 =  
}}
}}
 
이 소설은 비밀리에 오타쿠 취미를 가지고 있었던 주인공의 여동생과, 이를 알게 된 후 여동생이 가진 고민을 책임지고 상담해 주는 주인공 오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야기가 나아감에 따라 여동생을 둘러싼 주변의 여자아이들이 히로인으로서 차례로 등장하며, 이들과 주인공과의 관계도 특별해지게 된다. 후시미 츠카사사의 글과 칸자키 히로의 그림으로 구성되었으며, 전격 문고에서 2008년 8월부터 발매를 시작해 2012년 4월 기준으로 10권까지 출시되어 있다.
이 소설은 비밀리에 오타쿠 취미를 가지고 있었던 주인공의 여동생과, 이를 알게 된 후 여동생이 가진 고민을 책임지고 상담해 주는 주인공 오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야기가 나아감에 따라 여동생을 둘러싼 주변의 여자아이들이 히로인으로서 차례로 등장하며, 이들과 주인공과의 관계도 특별해지게 된다. 후시미 츠카사사의 글과 칸자키 히로의 그림으로 구성되었으며, [[전격 문고]]에서 2008년 8월부터 발매를 시작해 2013년 6월까지 연재되었다.


=== 내력 ===
=== 내력 ===
본 작품은, 작가 [[후시미 츠카사]]가 2007년 겨울 무렵까지 준비하던 소설 <[[네코시스]]>의 기획이 사정상 일시적으로 동결되었기 때문에 이 작품의 아이디어를 인용해서 처음 짜여졌다.<ref>이후 네코시스는 <[[전격 문고]] MAGAZINE> 지상에서 부활해 연재되다가, [[전격 문고]]를 통해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ref> 편집 담당자인 미키 카즈마는 작가 후시미의 작풍을 고려해 '초능력 없는 평범한 일상', '패기있는 소녀', '오타쿠'라는 테마를 골라 활용할 것을 제안했고, 또한 당시 본 작품에 대한 회사의 기대가 낮았기 때문에 캐릭터 설정을 강조한 마케팅 전략을 세웠다.<ref name="closeup081023">[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1.html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23일.</ref><ref name="아키바081205">[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76926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2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8년 12월 5일.</ref><ref name="아키바Blog090807">[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86986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4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9년 8월 7일.</ref><ref name="라노베 후기 2">라노베 제2권 후기. 371~372쪽</ref> 대체로 편집자인 미키의 리드에 의해 설정의 틀이 만들어졌지만, 작가 후시미에게는 장편 코미디에의 첫 도전이었으며,<ref>라노베 제1권 후기. 270~271쪽</ref> 작풍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독자도 의외로 많았다고 한다.<ref name="closeup081017">[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17일.</ref> 후시미 작가는 이후 담당 미키 카즈마, 오하라 잇테츠와 면밀한 협의나 의견 충돌을 거듭한 가운데 만들어진 작품이자, 여기에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를 더해 4명에 의한 공동 작품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ref name="라노베 후기 2" />
본 작품은, 작가 [[후시미 츠카사]]가 2007년 겨울 무렵까지 준비하던 소설 <[[네코시스]]>의 기획이 사정상 일시적으로 동결되었기 때문에 이 작품의 아이디어를 인용해서 처음 짜여졌다.<ref>이후 네코시스는 <전격 문고 MAGAZINE> 지상에서 부활해 연재되다가, [[전격 문고]]를 통해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ref> 편집 담당자인 미키 카즈마는 작가 후시미의 작풍을 고려해 '초능력 없는 평범한 일상', '패기있는 소녀', '오타쿠'라는 테마를 골라 활용할 것을 제안했고, 또한 당시 본 작품에 대한 회사의 기대가 낮았기 때문에 캐릭터 설정을 강조한 마케팅 전략을 세웠다.<ref name="closeup081023">[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1.html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23일.</ref><ref name="아키바081205">[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76926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2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8년 12월 5일.</ref><ref name="아키바Blog090807">[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86986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4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9년 8월 7일.</ref><ref name="라노베후기2">라노베 제2권 후기. 371~372쪽</ref> 대체로 편집자인 미키의 리드에 의해 설정의 틀이 만들어졌지만, 작가 후시미에게는 장편 코미디에의 첫 도전이었으며,<ref>라노베 제1권 후기. 270~271쪽</ref> 작풍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독자도 의외로 많았다고 한다.<ref name="closeup081017">[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17일.</ref> 후시미 작가는 이후 담당 미키 카즈마, 오하라 잇테츠와 면밀한 협의나 의견 충돌을 거듭한 가운데 만들어진 작품이자, 여기에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를 더해 4명에 의한 공동 작품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ref name="라노베후기2" />


일발 흥행을 노린 작품이 아니라, 작가 인생에서 마지막으로 간행하는 작품이 될 각오로 썼다고 말했으며,<ref name="closeup081023" /><ref>라노베 제3권의 뒷면 커버 소매.</ref> 실제로 발매 전까지는 [[전격 문고]]상에서 대단한 취급을 받지 못했지만, 발매 후에는 본작의 메인 히로인 [[코우사카 키리노]]가 오타쿠 취미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곳이 '''실제 개인 뉴스 사이트'''라는 설정이 화제가 되어 인터넷에서 큰 반향을 불렀다.<ref name="closeup081017" /><ref name="closeup081023" /><ref name="아키바081205" /><ref name="애니화 통지">[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00513.pdf 전격 문고 대인기 시리즈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애니메이션화 결정 통지(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0년 5월 13일.</ref>
일발 흥행을 노린 작품이 아니라, 작가 인생에서 마지막으로 간행하는 작품이 될 각오로 썼다고 말했으며,<ref name="closeup081023" /><ref>라노베 제3권의 뒷면 커버 소매.</ref> 실제로 발매 전까지는 [[전격 문고]]상에서 대단한 취급을 받지 못했지만, 발매 후에는 본작의 메인 히로인 [[코우사카 키리노]]가 오타쿠 취미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곳이 '''실제 개인 뉴스 사이트'''라는 설정이 화제가 되어 인터넷에서 큰 반향을 불렀다.<ref name="closeup081017" /><ref name="closeup081023" /><ref name="아키바081205" /><ref name="애니화통지">[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00513.pdf [[전격 문고]] 대인기 시리즈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애니메이션화 결정 통지(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0년 5월 13일.</ref>


이후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미디어 믹스로서 이케다 사쿠라의 코믹스가 전격 G's magazine 2009년 3월호부터 연재되고 있으며, 2010년 3월에는 원작의 내용을 에피소드화한 드라마 CD가 발매되었다. 이후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심야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송되었고, 2011년 1월에는 PSP용 게임 소프트가 발매되었다.
이후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미디어 믹스로서 이케다 사쿠라의 코믹스가 전격 G's magazine 2009년 3월호부터 연재되고 있으며, 2010년 3월에는 원작의 내용을 에피소드화한 드라마 CD가 발매되었다. 이후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심야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송되었고, 2011년 1월에는 PSP용 게임 소프트가 발매되었다.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된 2010년 5월 시점에서 시리즈 누계는 120만 부였고,<ref name="애니화 통지" /> 2010년 12월 기준으로는 280만 부<ref name="판매량">[[전격 문고]] MAGAZINE Vol.17, 2011년 1월호.</ref>를 기록한 판매량 인기 작품이 되었다.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된 2010년 5월 시점에서 시리즈 누계는 120만 부였고,<ref name="애니화통지" /> 2010년 12월 기준으로는 280만 부<ref name="판매량">[[전격 문고]] MAGAZINE Vol.17, 2011년 1월호.</ref>를 기록한 판매량 인기 작품이 되었다.


=== 단행본 ===
=== 단행본 ===
155번째 줄: 152번째 줄:
|1권|  
|1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1
  |권수 = 1
  |발행일/일본 = 2008년 8월 10일
  |발행일/일본 = 2008년 8월 10일
  |발행일/한국 = 2009년 6월 10일
  |발행일/한국 = 2009년 6월 10일
171번째 줄: 168번째 줄:
|2권|
|2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2
  |권수 = 2
  |발행일/일본 = 2008년 12월 10일
  |발행일/일본 = 2008년 12월 10일
  |발행일/한국 = 2009년 7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9년 7월 15일
186번째 줄: 183번째 줄:
|3권|
|3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3
  |권수 = 3
  |발행일/일본 = 2009년 4월 10일
  |발행일/일본 = 2009년 4월 10일
  |발행일/한국 = 2009년 10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9년 10월 15일
201번째 줄: 198번째 줄:
|4권|
|4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4
  |권수 = 4
  |발행일/일본 = 2009년 8월 10일
  |발행일/일본 = 2009년 8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월 10일
218번째 줄: 215번째 줄:
|5권|
|5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5
  |권수 = 5
  |발행일/일본 = 2010년 1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0년 1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0년 5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0년 5월 10일
231번째 줄: 228번째 줄:
"레어 어빌리티"를 가진 여자아이에게 나와 쿠로네코는 압도되어 다른 공간으로 빨려들어……!!
"레어 어빌리티"를 가진 여자아이에게 나와 쿠로네코는 압도되어 다른 공간으로 빨려들어……!!


'일상'과 '비일상'이 교차할 때, 이야기는 시작된다—!!<ref>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작품, <[[어떤 마술의 인덱스]]>의 캐치프레이즈이다. 원문은 '마술'과 '과학'이 교차할 때, 이야기는 시작된다—.</ref>
'일상'과 '비일상'이 교차할 때, 이야기는 시작된다—!!<ref>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작품,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캐치프레이즈이다. 원문은 '마술'과 '과학'이 교차할 때, 이야기는 시작된다—.</ref>
}}
}}
|6권|
|6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6
  |권수 = 6
  |발행일/일본 = 2010년 5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0년 5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0월 19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0월 19일
252번째 줄: 249번째 줄:
|7권|
|7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7
  |권수 = 7
  |발행일/일본 = 2010년 11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0년 11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1년 4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1년 4월 15일
272번째 줄: 269번째 줄:
|8권|
|8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8
  |권수 = 8
  |발행일/일본 = 2011년 5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1년 5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1년 8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1년 8월 15일
293번째 줄: 290번째 줄:
|9권|
|9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9
  |권수 = 9
  |발행일/일본 = 2011년 9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1년 9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2년 1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2년 1월 15일
310번째 줄: 307번째 줄:
|10권|
|10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10
  |권수 = 10
  |발행일/일본 = 2012년 4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2년 4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2년 8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2년 8월 15일
325번째 줄: 322번째 줄:
|11권|
|11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11
  |권수 = 11
  |발행일/일본 = 2012년 9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2년 9월 10일
  |발행일/한국 = 2013년 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3년 2월 15일
342번째 줄: 339번째 줄:
|12권|
|12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12
  |권수 = 12
  |발행일/일본 = 2013년 6월 7일
  |발행일/일본 = 2013년 6월 7일
  |발행일/한국 = 2013년 11월 15일
  |발행일/한국 =  
  |ISBN/일본 = 978-4-04-891607-3
  |ISBN/일본 = 978-4-04-891607-3
  |ISBN/한국 = 978-89-6822-943-5
  |ISBN/한국 =  
  |설명 = 이런이런…… 내가 장황하게 늘어놓았던 이 이야기도, 슬슬 끝이 보이는 것 같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이야기란 건 대부분 라스트 부근이 가장 복잡하니까 말이지, 나의 고등학교 생활 마지막 수 개월은 그야말로 카오스였다. 바야흐로 클라이맥스를 맞은 거다. 그딴 것, 평온을 사랑하는 나의 인생엔 필요없는데 말이지.
  |설명 = 이런이런…… 내가 장황하게 늘어놓았던 이 이야기도, 슬슬 끝이 보이는 것 같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이야기란 건 대부분 라스트 부근이 가장 복잡하니까 말이지, 나의 고등학교 생활 마지막 수 개월은 그야말로 카오스였다. 바야흐로 클라이맥스를 맞은 거다. 그딴 것, 평온을 사랑하는 나의 인생엔 필요없는데 말이지.


399번째 줄: 396번째 줄:
|1권|
|1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종류 = 코믹스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1
  |권수 = 1
  |발행일/일본 = 2009년 10월 27일
  |발행일/일본 = 2009년 10월 27일
  |발행일/한국 = 2010년 5월 18일
  |발행일/한국 = 2010년 5월 18일
413번째 줄: 410번째 줄:
|2권|
|2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종류 = 코믹스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2
  |권수 = 2
  |발행일/일본 = 2010년 8월 27일
  |발행일/일본 = 2010년 8월 27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0년 12월 15일
426번째 줄: 423번째 줄:
|3권|
|3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종류 = 코믹스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3
  |권수 = 3
  |발행일/일본 = 2010년 12월 10일
  |발행일/일본 = 2010년 12월 10일
  |발행일2/일본 = 2010년 12월 10일
  |발행일2/일본 = 2010년 12월 10일
441번째 줄: 438번째 줄:
|4권|
|4권|
{{단행본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종류 = 코믹스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권수 = 4
  |권수 = 4
  |발행일/일본 = 2011년 4월 27일
  |발행일/일본 = 2011년 4월 27일
  |발행일/한국 = 2011년 7월 27일
  |발행일/한국 = 2011년 7월 27일
455번째 줄: 452번째 줄:


== 드라마 CD ==
== 드라마 CD ==
{{참조|/애니메이션#오디오 드라마|애니메이션 Blu-ray/DVD 특전으로 출시된 오디오 드라마}}
{{정보상자/드라마 CD
{{정보상자/드라마 CD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480번째 줄: 475번째 줄:
  |연출 =  
  |연출 =  
}}
}}
최초의 음성화 작품. 애니메이션보다 일찍 드라마 CD가 2010년 3월 31일에 발매된다. 이후 드라마 CD의 성우 캐스팅은 TV 애니메이션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각본은 원작 소설의 작가인 [[후시미 츠카사]]가, 커버 일러스트는 원작의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가 직접 담당했다.


최초의 음성화 작품. 애니메이션보다 일찍 드라마 CD가 2010년 3월 31일에 발매된다. 이후 드라마 CD의 성우 캐스팅은 TV 애니메이션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각본은 원작 소설의 작가인 [[후시미 츠카사]]가, 커버 일러스트는 원작의 일러스트레이터 [[칸자키 히로]]가 직접 담당했다. 패키지는 드라마 CD, 해설서, 그리고 다음과 같은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3화의 에피소드를 담고 있으며, 각 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트리뷰트 교체용 자켓 '내 나름대로의 여동생' : 코믹스 작가 이케다 사쿠라를 포함한 11명의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신작 일러스트 11장을 교체용 자켓으로서 첨부했다. 참가한 일러스트레이터는 아베 토시요시, 안인두부, 이케다 사쿠라, 츠키 아츠야, kashmir, [[KEI]], 시콜스키, toi8, POP, 모타, [[유우키 하구레]]
 
* 신작 '내 여동생' 단편 소책자 : 원작가 [[후시미 츠카사]]의 신작 <내 여동생> 단편 소책자. 책자는 단편 소설 '어떤 메이드 카페에서', '발렌타인의 추억' 2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라마 CD 제3화 '아야세의 상담사, 수치 편'의 각본도 찾아볼 수 있다.


=== 에피소드 ===
* 1화 '''처음 와본 메이드 카페''' (はじめてのメイド喫茶) : 약 25분
드라마 CD는 전부 3화의 에피소드를 담고 있으며, 각 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1화 '''처음 와본 메이드 카페''' {{원|はじめてのメイド喫茶}} : 약 25분
** 원작 제1권 제3장의 내용이다. 메이드 카페 프리티 가든에서 열린 사오리의 오프라인 모임 이야기. 코우사카 남매가 사오리, 쿠로네코와 만날 적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원작 제1권 제3장의 내용이다. 메이드 카페 프리티 가든에서 열린 사오리의 오프라인 모임 이야기. 코우사카 남매가 사오리, 쿠로네코와 만날 적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2화 '''여동생의 친구(뒤쪽의)가 집에 온 날''' {{원|妹の友達(裏)が家に来た日}} : 약 23분
* 2화 '''여동생의 친구(뒤쪽의)가 집에 온 날''' (妹の友達(裏)が家に来た日) : 약 23분
** 원작 제3권 제1장의 내용이다. 쿠로네코가 키리노의 집을 방문해 애니메이션 상영회를 갖지만, 서로의 휴대폰 소설과 동인지 이야기로 다투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원작 제3권 제1장의 내용이다. 쿠로네코가 키리노의 집을 방문해 애니메이션 상영회를 갖지만, 서로의 휴대폰 소설과 동인지 이야기로 다투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3화 '''아야세의 상담사, 수치 편''' {{원|あやせの相談事・羞恥編}} : 약 31분
* 3화 '''아야세의 상담사, 수치 편''' (あやせの相談事・羞恥編) : 약 31분
** 원작가의 신작 시나리오. 키리노의 오타쿠 취미에 대해 고민하던 아야세가 쿄스케에게 상담을 청하는 이야기. 작가에 따르면 에피소드가 호평이었기 때문에 역으로 드라마 CD 내용을 원작 본편에 반영시켰다고 한다.<ref name="아키바Blog101110">[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109312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7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아키바 Blog, 2010년 11월 10일</ref> 이야기 도중에 아야세 역의 [[하야미 사오리]] 성우가 참여한 게임 <러브플러스>의 패러디가 등장한다.
** 원작가의 신작 시나리오. 키리노의 오타쿠 취미에 대해 고민하던 아야세가 쿄스케에게 상담을 청하는 이야기. 작가에 따르면 에피소드가 호평이었기 때문에 역으로 드라마 CD 내용을 원작 본편에 반영시켰다고 한다.<ref name="아키바Blog101110">[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109312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7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아키바 Blog, 2010년 11월 10일</ref> 이야기 도중에 아야세 역의 [[하야미 사오리]] 성우가 참여한 게임 <러브플러스>의 패러디가 등장한다.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패키지는 드라마 CD, 해설서, 그리고 다음과 같은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
* 트리뷰트 교체용 자켓 '내 나름대로의 여동생' : 코믹스 작가 이케다 사쿠라를 포함한 11명의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신작 일러스트 11장을 교체용 자켓으로서 첨부했다. 참가한 일러스트레이터는 아베 토시요시, 안인두부, 이케다 사쿠라, 츠키 아츠야, kashmir, [[KEI]], 시콜스키, toi8, POP, 모타, [[유우키 하구레]]
[[파일:TV 애니메이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png|썸네일|오른쪽|150px|TV 애니메이션 1기]]
* 신작 '내 여동생' 단편 소책자 : 원작가 [[후시미 츠카사]]의 신작 <내 여동생> 단편 소책자가 동봉되어 있다. 책자는 단편 소설 '어떤 메이드 카페에서', '발렌타인의 추억' 2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라마 CD 제3화 '아야세의 상담사, 수치 편'의 각본도 찾아볼 수 있다.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2010년 가을 시즌과 2013년 봄 시즌, 두 번에 걸쳐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첫 번째 시리즈의 제목은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로, 제작사는 [[AIC Build]]이며 각본에 원작의 작가인 [[후시미 츠카사]], 캐릭터 디자인에 원작 일러스트레이터인 [[칸자키 히로]]가 직접 참여했다. (칸자키 히로는 '오다 히로유키' 명의를 사용해 참여했다.)
== 애니메이션 ==
 
{{참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
이 애니메이션은 TV 방영 에피소드 + 인터넷 방영 에피소드 두 부분으로 나누어, TV판은 1화 ~ 12화 GOODEND의 이야기를, 인터넷판은 12화 TRUE ROUTE ~ 15화의 이야기를 담으며 12화를 분기점으로 두 개의 엔딩을 가진 작품으로 만들었다. TV판의 최종화 GOODEND는 원작과는 다른 오리지널 에피소드이다.
 
[[파일:TV 애니메이션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png|썸네일|왼쪽|150px|TV 애니메이션 2기]]
두 번째 시리즈의 제목은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로, 제작진은 1기와 거의 동일하지만 사정상 제작사만 [[A-1 Pictures]]로 옮겨졌다.
 
(1기의 TV판이 오리지널 엔딩인 GOODEND로 완결되었기 때문에, TRUE ROUTE에서 이어지는 스토리인 2기를 시청자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전달하려는 의도에서 제작진은 1기의 TRUE ROUTE 버전을 재방송했다. 이 때의 타이틀은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TRUE ROUTE 스페셜 판>.)
 
역시 원작의 [[후시미 츠카사]], [[칸자키 히로]] 콤비가 참여했고, 전작처럼 TV판 + 인터넷판으로 나누어 1 ~ 13화와 14화 ~ 16화로 나눠 방영했다. 다만, 2기의 분할 방영은 스토리의 분기가 아니라 서로 연결되는 이야기로, TV판과 인터넷판 에피소드 방영일 사이의 텀이 1기보다 짧다.
 
TV 애니메이션 1, 2기 모두 원작의 흐름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으며, 2기의 경우 1기가 끝나는 부분부터 원작의 완결 내용까지 모든 스토리를 담고 있다.
 
=== 라디오 ===
애니메이션 1기와 2기 방영을 기념해,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에서 출연 성우들에 의한 라디오 방송이 제공되었다.
 
애니메이션 1기의 라디오는 '''<내 여동생이 (라디오에서도)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이며, 퍼스널리티는 작품의 두 히로인 [[코우사카 키리노]], [[고코우 루리|쿠로네코]]의 성우 [[타케타츠 아야나]]와 [[하나자와 카나]]가 맡았다. 이 라디오는 애니 1기가 방영되기 전인 2010년 8월부터 방영을 시작해 2011년 7월까지 총 24회에 걸쳐 방송되었고, 작품의 주인공인 쿄스케, 그리고 다른 히로인들의 성우들도 게스트로서 초대되었다.
 
애니메이션 2기의 라디오는 '''<내 여동생이 (라디오에서도)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이며, 퍼스널리티는 1기 방송과 동일하게 [[타케타츠 아야나]], [[하나자와 카나]] 두 사람이 맡았다.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2013년 4월부터 현재도 계속 방송되고 있다.


== 게임 ==
== 게임 ==
{{참조|/게임}}
{{참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게임}}
 
<gallery heights="220px">
파일:미소녀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png|내 여동생 포터블 (PSP)
파일:미소녀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png|내 여동생 포터블 속편 (PSP)
파일:미소녀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해피엔드.png|내 여동생 해피엔드 (PS3)
</gallery>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를 위한 게임 소프트로도 제작되었다. PSP용 노블 형식의 게임 2작품과, PS3용 아이돌 매니지먼트 시뮬레이션 형식의 게임 1작품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작품은 2011년 1월 27일에 발매된 PSP용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로, 원작의 작가 및 일러스트레이터인 [[후시미 츠카사]]와 [[칸자키 히로]] 콤비가 직접 참여했다. 고등학교 수학여행을 다녀온 쿄스케가, 어딘가 조금 바뀐 컨셉의 히로인들에게 인생상담을 받고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분투한다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두 번째 작품은 2012년 5월 17일에 발매된 PSP용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로, 전작처럼 원작의 콤비가 각본과 디자인에 참여했다. 공통 루트가 끝나면 각 히로인별 루트로 돌입하게 되며, 전작에 공략 가능했던 히로인들 이외에도 세나 루트와 쿠로네코의 동생들 루트가 추가되어 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은 2013년 9월 26일에 발매된 PS3용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HappyenD>'''로, 플레이어는 쿄스케의 입장이 되어 아이돌이 된 히로인들의 매니저로서 그녀들을 최고의 아이돌로 서포트한다는 내용이다. 사진을 촬영하고 가상의 SNS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것이 게임의 전반적인 플레이 내용이 되며, 발매사 측에서는 이를 활용해 다양한 사진 응모 이벤트를 기획했다.
 
== 디스코그라피 ==
{{참조|/디스코그라피}}
 
=== 애니메이션 음악 ===
{{음악 시작|<!--17%-->||34%}}
{{음악
|발매일 = 2010년 12월 22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1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1券 特典CD
|아티스트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수록곡 =
* 여동생 플리~즈! (妹プリ〜ズ!) {{덧|1기 1화 ED}}
* Shine! {{덧|1기 2화 ED}}
}}
{{음악
|발매일 = 2010년 12월 31일
|제목 = TVA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OP 주제가
|원제 = TVアニメ「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OPテーマ
|아티스트 = [[ClariS]]
|수록곡 =
* irony {{덧|1기 OP}}
}}
{{음악
|발매일 = 2010년 1월 12일
|제목 = TVA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Original Soundtrack
|원제 = TVアニメ「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Original Soundtrack
|아티스트 = [[메루루]] (CV. [[타무라 유카리]]) 등
|수록곡 =
}}
{{음악
|발매일 = 2011년 1월 26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2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2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아라가키 아야세]] (CV. [[하야미 사오리]])
|수록곡 =
* 호라이즘 (ほらいずむ) {{덧|1기 3화 ED}}
* 하얀 마음 (白いココロ) {{덧|1기 4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2월 23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3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3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타무라 마나미 (CV. [[사토 사토미]])
|수록곡 =
* 오렌지 (オレンジ) {{덧|1기 5화 ED}}
* 마에가미☆ (マエガミ☆) {{덧|1기 6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3월 23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4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4券 特典CD
|아티스트 =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
* [[사오리 버지나]] (CV. [[나바타메 히토미]])
|수록곡 =
* Masquerade! {{덧|1기 7화 ED}}
* 카멜레온 도터 (カメレオンドーター) {{덧|1기 8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4월 27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5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5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쿠루스 카나코]] (CV. [[타무라 유카리]])
|수록곡 =
* 좋아하는걸! (好きなんだもん!) {{덧|1기 9화 ED}}
* 아니오, 톰은 여동생에 대해 성적인 흥분을 느끼고 있습니다. (いいえ, トムは妹に対して性的な興奮をおぼえています) {{덧|1기 10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5월 25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6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6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br>[[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br>[[사오리 버지나]] (CV. [[나바타메 히토미]])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수록곡 =
* 아키하바라☆댄스☆나우!! (アキハバラ☆だんす☆なう!!) {{덧|1기 11화 ED}}
* 돌아왔어요. (ただいま。) {{덧|1기 12화 GOODEND♥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6월 22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7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7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
|수록곡 =
* READY {{덧|1기 12화 TRUE ROUTE ED}}
* †인생은 짧으니 사랑하라 소녀여† (†命短し恋せよ乙女†) {{덧|1기 13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7월 27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8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8券 特典CD
|아티스트 =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br>[[코우사카 쿄스케]] (CV. [[나카무라 유이치]])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수록곡 =
* 속죄의 세레나데 (贖罪のセレナーデ) {{덧|1기 14화 ED}}
* keep on runnin' {{덧|1기 15화 ED}}
}}
{{음악
|발매일 = 2011년 11월 7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Complete Collection+~ 오레이모 콤프+!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Complete Collection+~俺妹コンプ+!
|아티스트 = (생략)
|수록곡 =
}}
{{음악
|발매일 = 2013년 6월 19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1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1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아라가키 아야세]] (CV. [[하야미 사오리]])
|수록곡 =
* 감정선 loop (感情線loop) {{덧|2기 1화 ED}}
* 필터 (フィルター) {{덧|2기 2화 ED}}
}}
{{음악
|발매일 = 2013년 7월 24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2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2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br>[[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br>[[사오리 버지나]] (CV. [[나바타메 히토미]])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수록곡 =
* 줄곧… (ずっと…) {{덧|2기 3화 ED}}
* 어니스트☆랩소디 (ほねすと☆ラプソディー) {{덧|2기 4화 ED}}
}}
{{음악
|발매일 = 2013년 8월 21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Blu-ray 제3권 특전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Blu-ray 第3券 特典CD
|아티스트 =
* [[코우사카 키리노]] (CV. [[타케타츠 아야나]])
* [[고코우 루리|쿠로네코]] (CV. [[하나자와 카나]])
|수록곡 =
* Keep {{덧|2기 5화 ED}}
* 모노쿠로☆HAPPY DAY (モノクロ☆HAPPY DAY) {{덧|2기 6화 ED}}
}}
<!-- 음악을 추가하려면 다음 서식을 복사해 덧붙여 주세요.
{{음악
|발매일 =
|제목 =
|원제 =
|아티스트 =
|수록곡 =
}}
-->
{{음악 끝}}


=== 기타 음악 ===
== 라디오 ==
{{음악 시작|<!--17%-->||34%}}
{{참조|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
{{음악
|발매일 = 2011년 9월 14일
|제목 = 소설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테마송
|원제 = 小説「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テーマソング
|아티스트 = [[ClariS]]
|수록곡 = nexus {{덧|라이트 노벨 테마송}}
}}
{{음악
|발매일 = 2012년 5월 17일
|제목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 사운드트랙 CD!
|원제 = 俺の妹がこんなに可愛いわけがない ポータブルが続くわけがない サウンドトラックCD!
|아티스트 = (생략)
|수록곡 =
}}
<!-- 음악을 추가하려면 다음 서식을 복사해 덧붙여 주세요.
{{음악
|발매일 =
|제목 =
|원제 =
|아티스트 =
|수록곡 =
}}
-->
{{음악 끝}}


== 주석 ==
== 주석 ==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