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작품 ==
== 작품 ==
[[파일: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로고.png|thumb|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공식 로고]]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涼宮ハルヒシリーズ)는 [[타니가와 나가루]]가 지은 [[라이트 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원|涼宮ハルヒシリーズ}}는 [[타니가와 나가루]]가 지은 [[라이트 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제1기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라는 제목으로 쿄토 애니메이션 사에서 총 14화의 TV 시리즈로 제작해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고, 방영 당시 UHF 계열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퀄리티가 화제를 불러<ref><다 빈치> 2007년 2월호, 미디어 팩토리, 64쪽.</ref> 2006년 상반기의 화제작이 되었다.<ref>[http://www.oricon.co.jp/anime/topics/060621/060621_02ishihara.html 이 부분이 대단해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오리콘.</ref> 이와 함께 원작 라이트 노벨이나 애니메이션의 DVD, CD 등 관련 상품의 매출이 일제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는데, 이런 히트의 배경은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 YouTube가 관계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며,<ref>[http://mitaimon.cocolog-nifty.com/blog/2006/05/youtube_e773.html 스즈미야 하루히가 일으킨 YouTube의 우울, 인터넷 마케팅의 큰 성공 사례.]</ref> 카도카와 그룹이 YouTube에 공식 페이지 '카도카와 애니메이션 채널'을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ref>[http://www.yomiuri.co.jp/net/feature/20080807nt01.htm 인터넷 사회 급성장의 비밀(2) 투고 사이트 히트를 낳음], 요미우리 신문.</ref>
: 제1기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라는 제목으로 쿄토 애니메이션 사에서 총 14화의 TV 시리즈로 제작해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고, 방영 당시 UHF 계열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퀄리티가 화제를 불러<ref><다 빈치> 2007년 2월호, 미디어 팩토리, 64쪽.</ref> 2006년 상반기의 화제작이 되었다.<ref>[http://www.oricon.co.jp/anime/topics/060621/060621_02ishihara.html 이 부분이 대단해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오리콘.</ref> 이와 함께 원작 라이트 노벨이나 애니메이션의 DVD, CD 등 관련 상품의 매출이 일제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는데, 이런 히트의 배경은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 YouTube가 관계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며,<ref>[http://mitaimon.cocolog-nifty.com/blog/2006/05/youtube_e773.html 스즈미야 하루히가 일으킨 YouTube의 우울, 인터넷 마케팅의 큰 성공 사례.]</ref> 카도카와 그룹이 YouTube에 공식 페이지 '카도카와 애니메이션 채널'을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ref>[http://www.yomiuri.co.jp/net/feature/20080807nt01.htm 인터넷 사회 급성장의 비밀(2) 투고 사이트 히트를 낳음], 요미우리 신문.</ref>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년)|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년판]]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년판
: 2007년 7월 7일에는 애니메이션 제2기의 제작을 발표했으며, 1기로부터 정확히 3년 뒤인 2009년 4월부터 예전과 같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라는 제목의 새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된다. 이것은 전작을 통해 방영한 14화에 추가 에피소드 14화를 삽입해 총 28화의 시리즈로 재구성한 것이다.<ref>[http://www.j-cast.com/2009/02/04035406.html <스즈미야 하루히> 신작 방영! 이번에야말로 정말인지], J-CAST 뉴스</ref><ref>[http://mainichi.jp/enta/mantan/news/20090210mog00m200016000c.html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YouTube에서 새로운 애니메이션 전달 4월부터 재방송도], 만땅웹.</ref>
: 2007년 7월 7일에는 애니메이션 제2기의 제작을 발표했으며, 1기로부터 정확히 3년 뒤인 2009년 4월부터 예전과 같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라는 제목의 새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된다. 이것은 전작을 통해 방영한 14화에 추가 에피소드 14화를 삽입해 총 28화의 시리즈로 재구성한 것이다.<ref>[http://www.j-cast.com/2009/02/04035406.html <스즈미야 하루히> 신작 방영! 이번에야말로 정말인지], J-CAST 뉴스</ref><ref>[http://mainichi.jp/enta/mantan/news/20090210mog00m200016000c.html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YouTube에서 새로운 애니메이션 전달 4월부터 재방송도, 만땅웹.</ref>


: 또한 동시기에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 Youtube를 통해 짧은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쨩의 우울]]>과 <뇨롱☆츄루야 씨>를 스트리밍했다.
: 또한 동시기에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 Youtube를 통해 짧은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쨩의 우울>과 <뇨롱☆츄루야씨>를 스트리밍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본 시리즈 처음으로 제작된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TV 애니메이션 최종회에서 이어지는 형태로 진행된다. 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에 전국 24개 관에서 개봉을 시작해 순차적으로 확대, 6월 25일까지 상영관 수 103관에 올랐으며, 미국에서 5월 21일부터 샌프란시스코, 6월 24일에 로스앤젤레스, 6월에 호놀룰루 영화 이벤트에서도 상영되었고 10월 뉴욕, 10월 22일부터 대만, 그리고 11월 11일에는 국내에도 수입되어 11월 30일까지 극장 상영되었다. 그밖에도 스코틀랜드의 아니메 페어 "Scotland Loves Anime" 10월 17일의 유로시사회, 11월 13~14일 싱가포르 ANIME FESTIVAL ASIA에서 상영되었고,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러시아 각 도시와 우크라이나 11월 5일, 홍콩 12월 2일에 상영되었다.
: 본 시리즈 처음으로 제작된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TV 애니메이션 최종회에서 이어지는 형태로 진행된다. 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에 전국 24개 관에서 개봉을 시작해 순차적으로 확대, 6월 25일까지 상영관 수 103관에 올랐으며, 미국에서 5월 21일부터 샌프란시스코, 6월 24일에 로스앤젤레스, 6월에 호놀룰루 영화 이벤트에서도 상영되었고 10월 뉴욕, 10월 22일부터 대만, 그리고 11월 11일에는 국내에도 수입되어 11월 30일까지 극장 상영되었다. 그밖에도 스코틀랜드의 아니메 페어 "Scotland Loves Anime" 10월 17일의 유로시사회, 11월 13~14일 싱가포르 ANIME FESTIVAL ASIA에서 상영되었고,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러시아 각 도시와 우크라이나 11월 5일, 홍콩 12월 2일에 상영되었다.


19번째 줄: 18번째 줄:


== 줄거리 ==
== 줄거리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편 ===
=== 우울 편 ===
{{인용|히가시 중학 출신, 스즈미야 하루히. 평범한 인간에게는 관심 없습니다. 이 안에 만약 우주인, 미래인, 이세계인, 초능력자가 있다면 나에게로 오십시오, 이상.}}
{{인용|히가시 중학 출신, 스즈미야 하루히. 평범한 인간에게는 관심 없습니다. 이 안에 만약 우주인, 미래인, 이세계인, 초능력자가 있다면 나에게로 오십시오, 이상.}}


30번째 줄: 29번째 줄:
이렇게 해서 쿈과 다른 SOS단의 단원들은 사건을 기대하는 하루히에게 본인들의 정체를 들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하루히가 무의식중에 일으키는 이상현상을 몰래 수습하고, 각 우주인, 미래인, 초능력자 조직들 사이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응하며 판타지 가득한 일상을 보내게 된다.
이렇게 해서 쿈과 다른 SOS단의 단원들은 사건을 기대하는 하루히에게 본인들의 정체를 들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하루히가 무의식중에 일으키는 이상현상을 몰래 수습하고, 각 우주인, 미래인, 초능력자 조직들 사이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응하며 판타지 가득한 일상을 보내게 된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편 ===
=== 소실 편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겨울방학을 앞둔 고교 1학년 겨울, 스즈미야 하루히가 이끄는 SOS단은 크리스마스에 부실에서 파티를 열기로 결정했다. 성급한 하루히는 곧바로 파티 준비를 시작했고, 쿈과 다른 단원들도 그 준비에 바빴지만, 사건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지극히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겨울방학을 앞둔 고교 1학년 겨울, 스즈미야 하루히가 이끄는 SOS단은 크리스마스에 부실에서 파티를 열기로 결정했다. 성급한 하루히는 곧바로 파티 준비를 시작했고, 쿈과 다른 단원들도 그 준비에 바빴지만, 사건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지극히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12월 18일 아침, 쿈은 등교길에서 반 친구 타니구치와 만났는데, 어제까지 건강했던 녀석이 갑자기 감기에 걸려 있던 것이다. 그러나 타니구치는 자기의 감기가 한참 전부터 지속된 것이라며 쿈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를 계속했던 것이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하루히가 있어야 할 쿈의 뒷자리를, 나가토 유키에 의해 소멸한 아사쿠라 료코가 차지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 코이즈미 이츠키가 전학 온 1학년 9반 자체는 존재하지도 않는 반이 되어 있었고, 아사히나 미쿠루나 츠루야는 쿈의 존재를 전혀 기억하고 있지 못했다.
그러나 12월 18일 아침, 쿈은 등교길에서 반 친구 타니구치와 만났는데, 어제까지 건강했던 녀석이 갑자기 감기에 걸려 있던 것이다. 그러나 타니구치는 자기의 감기가 한참 전부터 지속된 것이라며 쿈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를 계속했던 것이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하루히가 있어야 할 쿈의 뒷자리를, 나가토 유키에 의해 소멸한 아사쿠라 료코가 차지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 코이즈미 이츠키가 전학온 1학년 9반 자체는 존재하지도 않는 반이 되어 있었고, 아사히나 미쿠루나 츠루야는 쿈의 존재를 전혀 기억하고 있지 못했다.


제자리에 있어야 할 것들이 없고, 없어야 할 것들이 있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상황에 쿈은 위화감을 느끼며 최후의 희망을 걸고 SOS단의 부실을 찾아갔다. 부실 문을 열고 들어간 쿈이 발견한 것은, 안경을 걸치고 놀란 모습으로 쿈을 바라보는 '평범한 여자아이' 나가토 유키의 모습이었다.
제자리에 있어야 할 것들이 없고, 없어야 할 것들이 있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상황에 쿈은 위화감을 느끼며 최후의 희망을 걸고 SOS단의 부실을 찾아갔다. 부실 문을 열고 들어간 쿈이 발견한 것은, 안경을 걸치고 놀란 모습으로 쿈을 바라보는 '평범한 여자아이' 나가토 유키의 모습이었다.
41번째 줄: 40번째 줄: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등장인물}}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등장인물}}
{{안내| 성우는 애니메이션 (원어) / 애니메이션 (더빙판) 순서입니다. }}
* 성우는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더빙판) 순이다.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쿈
  |이름 = 쿈
  |이름@ = [[쿈]]
  |이름+@ = [[쿈]]
  |이름/일어 = キョン
  |이름/일어 = キョン
  |CV = [[스기타 토모카즈]] / 엄상현
  |CV = [[스기타 토모카즈]] / 엄상현
  |설명 = 작품의 주인공이자, 이야기의 시점을 주관하는 인물. '쿈'이란 건 별명이며, 본명은 등장하지 않았다. 평범한 인간이지만, 스즈미야 하루히가 가장 관심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안정되고 편안한 하루하루를 좋아하는 한편, 은연중에 비일상에 대한 동경심을 간직하고 있다.
  |설명 = 작품의 주인공이자, 이야기의 시점을 주관하는 인물. '쿈'이란 건 별명이며, 본명은 등장하지 않았다. 평범한 인간이지만, 스즈미야 하루히가 가장 관심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안정되고 편안한 하루하루를 좋아하는 한편, 은연중에 비일상에 대한 동경심을 간직하고 있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스즈미야 하루히
  |이름 = 스즈미야 하루히
  |이름@ = [[스즈미야 하루히]]
  |이름+@ = [[스즈미야 하루히]]
  |이름/일어 = 涼宮 ハルヒ
  |이름/일어 = 涼宮 ハルヒ
  |CV = [[히라노 아야]] / 박선영
  |CV = [[히라노 아야]] / 박선영
  |설명 = 작품의 여주인공. 다재다능한 미소녀로 교내에 인기가 좋다. 특활부 SOS단을 만들어 '불가사의한 현상, 사건들을 찾아내며 놀아보자'고 제안한다. 의도를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신비한 잠재능력을 갖고 있어서, 우주와 미래세계 등 각종 조직에서 그 존재를 주시하고 있다.
  |설명 = 작품의 여주인공. 다재다능한 미소녀로 교내에 인기가 좋다. 특활부 SOS단을 만들어 '불가사의한 현상, 사건들을 찾아내며 놀아보자'고 제안한다. 의도를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신비한 잠재능력을 갖고 있어서, 우주와 미래세계 등 각종 조직에서 그 존재를 주시하고 있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나가토 유키
  |이름 = 나가토 유키
  |이름@ = [[나가토 유키]]
  |이름+@ = [[나가토 유키]]
  |이름/일어 = 長門 有希
  |이름/일어 = 長門 有希
  |CV = [[치하라 미노리]] / 우정신
  |CV = [[치하라 미노리]] / 우정신
  |설명 = 문예부원으로 등장하며, 하루히가 문예부 부실을 SOS단의 거점으로 만들자 SOS단의 부원이 된다. 그 정체는 '정보통합사념체'에서 하루히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해 파견된 우주인이라 할 수 있다. 고도의 정보조작 능력을 가졌지만, 자신의 역할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설명 = 문예부원으로 등장하며, 하루히가 문예부 부실을 SOS단의 거점으로 만들자 SOS단의 부원이 된다. 그 정체는 '정보통합사념체'에서 하루히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해 파견된 우주인이라 할 수 있다. 고도의 정보조작 능력을 가졌지만, 자신의 역할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아사히나 미쿠루
  |이름 = 아사히나 미쿠루
  |이름@ = [[아사히나 미쿠루]]
  |이름+@ = [[아사히나 미쿠루]]
  |이름/일어 = 朝比奈 みくる
  |이름/일어 = 朝比奈 みくる
  |CV = [[고토 유코]] / 윤미나
  |CV = [[고토 유코]] / 윤미나
  |설명 = 하루히가 SOS단을 만들 때 마스코트 캐릭터로 납치해 온 선배. 이른바 '로리 거유 미소녀'. 정체는 미래에서 타임슬립해 건너온 미래인. 조직의 말단 파견원이기 때문에 자신의 정체나 임무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설명 = 하루히가 SOS단을 만들 때 마스코트 캐릭터로 납치해 온 선배. 이른바 '로리 거유 미소녀'. 정체는 미래에서 타임슬립해 건너온 미래인. 조직의 말단 파견원이기 때문에 자신의 정체나 임무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코이즈미 이츠키
  |이름 = 코이즈미 이츠키
  |이름@ = [[코이즈미 이츠키]]
  |이름+@ = [[코이즈미 이츠키]]
  |이름/일어 = 古泉 一樹
  |이름/일어 = 古泉 一樹
  |CV = [[오노 다이스케]] / 전광주
  |CV = [[오노 다이스케]] / 전광주
  |설명 = 학년초에 하루히가 있는 키타고교로 전학온 남학생. 언제나 미소를 짓고 있으며, 정중한 말투를 사용한다. 정체는 초능력자 조직 '기관'에서 파견한 능력자로, 하루히가 은연중에 만들어내는 '폐쇄공간'이라는 이공간에 들어가 '신인'의 폭주를 막는 임무를 맡고 있다.
  |설명 = 학년초에 하루히가 있는 키타고교로 전학온 남학생. 언제나 미소를 짓고 있으며, 정중한 말투를 사용한다. 정체는 초능력자 조직 '기관'에서 파견한 능력자로, 하루히가 은연중에 만들어내는 '폐쇄공간'이라는 이공간에 들어가 '신인'의 폭주를 막는 임무를 맡고 있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아사쿠라 료코
  |이름 = 아사쿠라 료코
  |이름@ = [[아사쿠라 료코]]
  |이름+@ = [[아사쿠라 료코]]
  |이름/일어 = 朝倉 涼子
  |이름/일어 = 朝倉 涼子
  |CV = [[쿠와타니 나츠코]] / 이주희
  |CV = [[쿠와타니 나츠코]] / 이주희
  |설명 = 쿈과 하루히가 있는 1학년 5반의 반장. 정보통합사념체에서 나가토 유키의 보조로서 파견한 TFEI 단말로, 사념체의 급진파들의 생각을 대표해 쿈을 죽이려 했으나 나가토에 의해 저지되고, 소멸당한다.
  |설명 = 쿈과 하루히가 있는 1학년 5반의 반장. 정보통합사념체에서 나가토 유키의 보조로서 파견한 TFEI 단말로, 사념체의 급진파들의 생각을 대표해 쿈을 죽이려 했으나 나가토에 의해 저지되고, 소멸당한다.
|변수 = 애니판
}}
}}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츠루야
  |이름 = 츠루야
  |이름@ = [[츠루야]]
  |이름+@ = [[츠루야]]
  |이름/일어 = 鶴屋
  |이름/일어 = 鶴屋
  |CV = [[마츠오카 유키]] / 정유미
  |CV = [[마츠오카 유키]] / 정유미
  |설명 = 아사히나 미쿠루의 동급생이자 좋은 친구. 언제나 텐션이 높고, '~뇨로' 같은 말투를 사용한다. 재미있는 일을 좋아해서, 스즈미야 하루히와는 죽이 잘 맞는 편. 츠루야 집안은 매우 부유한 집안으로,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된 '기관'의 간접적인 스폰서인 모양이다.
  |설명 = 아사히나 미쿠루의 동급생이자 좋은 친구. 언제나 텐션이 높고, '~뇨로' 같은 말투를 사용한다. 재미있는 일을 좋아해서, 스즈미야 하루히와는 죽이 잘 맞는 편. 츠루야 집안은 매우 부유한 집안으로,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된 '기관'의 간접적인 스폰서인 모양이다.
|변수 = 애니판
}}
}}


103번째 줄: 95번째 줄: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용어}}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용어}}


== TV 애니메이션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정보상자/애니메이션
|구분 = TV 애니메이션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일어 = 涼宮ハルヒの憂鬱
|제목/영어 = The Melancholy of Haruhi Suzumiya
|장르 = 학원 코미디, SF
|방영시작/년 = 2006
|방영시작/월 = 4
|방영시작/일 = 2
|방영종료/년 = 2006
|방영종료/월 = 7
|방영종료/일 = 2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구성 = 스즈미야 하루히와 유쾌한 동료들
|각본 =
|연출 =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쇼코]]
|음악 =
|제작사 = [[쿄토 애니메이션]]
|화수 = 14화
|공식사이트 = http://www.haruhi.tv/ & http://www.kyotoanimation.co.jp/haruhi/
<!-- 국내 방영정보 -->
|국내명 =
|국내방영시작/년 =
|국내방영시작/월 =
|국내방영시작/일 =
|국내방영종료/년 =
|국내방영종료/월 =
|국내방영종료/일 =
|수입사 =
|공식사이트/국내 =
}}


타니가와 나가루의 라이트 노벨을 바탕으로 쿄토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방영되었다. 총 14화. 원작 제1권 <우울> 이외에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 제6권 <동요>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작가 타니가와가 직접 새로 쓴 오리지널 스토리에 기반하고 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타니가와의 라노베를 바탕으로 쿄토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방영되었다. 총 14화. 원작 제1권 <우울> 이외에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 제6권 <동요>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작가 타니가와가 직접 새로 쓴 오리지널 스토리에 기반하고 있다.


==== 제작진 ====
=== 제작진 ===
{{분할 시작|2}}
* 원작 및 제작협력 : 타니가와 나가루
* 원작 및 제작협력 : 타니가와 나가루
* 원작 일러스트 및 캐릭터 원안 : 이토 노이지
* 원작 일러스트 및 캐릭터 원안 : 이토 노이지
153번째 줄: 110번째 줄:
* 미술감독 : 타무라 세이키
* 미술감독 : 타무라 세이키
* 색채설계 : 이시다 나오미
* 색채설계 : 이시다 나오미
{{분할|2}}
* 촬영감독 : 타나카 요시코
* 촬영감독 : 타나카 요시코
* 편집 : 시게무라 켄고
* 편집 : 시게무라 켄고
161번째 줄: 117번째 줄:
* 애니메이션 제작 : 쿄토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제작 : 쿄토 애니메이션
* 제작협력 : 빅 샷 (현 쿠오라스)
* 제작협력 : 빅 샷 (현 쿠오라스)
* 제작 : SOS단 (카도카와 쇼텐, 카도카와 해럴드 영화, 쿄토 애니메이션, 클락 웍스)
* 제작 : SOS단 (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해럴드 영화, 쿄토 애니메이션, 클락 웍스)
{{분할 끝}}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2006년판은 원작의 흐름이나 이야기의 시간 순서와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연결되는 에피소드들을 마치 흩어진 퍼즐처럼 순서를 뒤섞음으로써 "원작에 충실하며, 원작 팬들에 대한 서프라이즈를 양립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이와 같은 제작방법의 치지를 밝혔다. 원작에 완벽히 충실할 경우, 스토리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원작 독자들에게는 하찮은 내용이 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요소를 추가해서 원작의 분위기를 크게 바꾸려는 시도였다.<ref name="어른 애니메"><어른 애니메 Vol.1>, 2006년, 18쪽.</ref> 한편 DVD는 시간의 흐름을 정상적인 궤도로 돌려놓아 수록했는데, 이는 DVD를 통해 애니메를 다시 감상하면서 시청자로 하여금 새로운 발견을 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ref name="어른 애니메" />
2006년판은 원작의 흐름이나 이야기의 시간 순서와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연결되는 에피소드들을 마치 흩어진 퍼즐처럼 순서를 뒤섞음으로써 "원작에 충실하며, 원작 팬들에 대한 서프라이즈를 양립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이와 같은 제작방법의 치지를 밝혔다. 원작에 완벽히 충실할 경우, 스토리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원작 독자들에게는 하찮은 내용이 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요소를 추가해서 원작의 분위기를 크게 바꾸려는 시도였다.<ref name="어른 애니메"><어른 애니메 Vol.1>, 2006년, 18쪽.</ref> 한편 DVD는 시간의 흐름을 정상적인 궤도로 돌려놓아 수록했는데, 이는 DVD를 통해 애니메를 다시 감상하면서 시청자로 하여금 새로운 발견을 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ref name="어른 애니메" />


172번째 줄: 127번째 줄: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1화는 원작 제6권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권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타이틀은 SOS단이 문화제를 위해 직접 만든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며, 본 작품에 대한 예비 설명이 되기도 전에 느닷없이 단편 영화로 시작하기 때문에 놀람을 가져다 주고 있다. 게다가 제목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과 다르게 주인공이 아사히나 미쿠루인 채 제1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걱정했다고 감독은 말했다. (그러나, 제1화의 최종 씬을 통해 1화의 내용이 사실은 SOS단의 영화 시사회 풍경이었음을 알려준다.)
: 본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1화는 원작 제6권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권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타이틀은 SOS단이 문화제를 위해 직접 만든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며, 본 작품에 대한 예비 설명이 되기도 전에[14] 느닷없이 단편 영화로 시작하기 때문에 놀람을 가져다 주고 있다. 게다가 제목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과 다르게 주인공이 아사히나 미쿠루인 채 제1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걱정했다고 감독은 말했다. (그러나, 제1화의 최종 씬을 통해 1화의 내용이 사실은 SOS단의 영화 시사회 풍경이었음을 알려준다.)


==== 주제가 ====
=== 주제가 ===
* 화수 표시는 DVD 기준이다.
* 화수 표시는 DVD 기준이다.


; 오프닝
; 오프닝
* '''모험이죠 그렇죠?''' {{원|冒険でしょでしょ?}} : 2~14화
* '''모험이죠 그렇죠?''' (冒険でしょでしょ?) : 2~14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토미타 아키코 / 편곡 : 후지타 쥰페이 / 노래 : 히라노 아야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토미타 아키코 / 편곡 : 후지타 쥰페이 / 노래 : 히라노 아야


; 엔딩
; 엔딩
* '''맑게맑게 유쾌하게''' {{원|ハレ晴レユカイ}} : 1~13화
* '''맑게맑게 유쾌하게''' (ハレ晴レユカイ) : 1~13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모험이죠 그렇죠?''' : 14화
* '''모험이죠 그렇죠?''' : 14화
188번째 줄: 143번째 줄:


; 삽입곡
; 삽입곡
* '''사랑의 미쿠루 전설''' {{원|恋のミクル伝説}} : 1화
* '''사랑의 미쿠루 전설''' (恋のミクル伝説) : 1화
** 작사 : 스즈미야 하루히 (야마모토 유타카) / 작사, 작곡 : 스즈미야 하루히 (코우사키 사토루) / 노래 : 아사히나 미쿠루 (CV. 고토 유코)
** 작사 : 스즈미야 하루히 (야마모토 유타카) / 작사, 작곡 : 스즈미야 하루히 (코우사키 사토루) / 노래 : 아사히나 미쿠루 (CV. 고토 유코)
* '''God kows...''' : 12화
* '''God kows...''' : 12화
204번째 줄: 159번째 줄: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00',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조릿대잎 랩소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오프닝 주제가가 생략되었다. 그러나, 제1화는 본편 자체가 극중 영화의 주제가 <사랑의 미쿠루 전설>로 시작하기 때문에 제1화의 오프닝 주제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00',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조릿대잎 랩소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오프닝 주제가가 생략되었다. 그러나, 제1화는 본편 자체가 극중 영화의 주제가 <사랑의 미쿠루 전설>로 시작하기 때문에 제1화의 오프닝 주제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년)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년) ==
{{정보상자/애니메이션
|구분 = TV 애니메이션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일어 = 涼宮ハルヒの憂鬱
|제목/영어 = The Melancholy of Haruhi Suzumiya
|변수 = (2009년)
|장르 = 학원 코미디, SF
|방영시작/년 = 2009
|방영시작/월 = 4
|방영시작/일 = 2
|방영종료/년 = 2009
|방영종료/월 = 10
|방영종료/일 = 8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구성 = 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각본 =
|연출 =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쇼코]]
|음악 =
|제작사 = [[쿄토 애니메이션]]
|화수 = 28화<ref>2006년에 방영된 에피소드 14편에 신작 에피소드 14편을 추가해 만들어졌다.</ref>
|공식사이트 = http://www.haruhi.tv/ & http://www.kyotoanimation.co.jp/haruhi/
<!-- 국내 방영정보 -->
|국내명 =
|국내방영시작/년 =
|국내방영시작/월 =
|국내방영시작/일 =
|국내방영종료/년 =
|국내방영종료/월 =
|국내방영종료/일 =
|수입사 =  
|공식사이트/국내 =  
}}
첫 시리즈가 방영한 뒤 정확히 3년이 되는 2009년 4월에, 2006년 방송된 14화에 추가로 신작 에피소드 14화를 더해서 총 28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방송했다. 신작 에피소드는 제2권 '한숨',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의 일부를 담고 있다.
첫 시리즈가 방영한 뒤 정확히 3년이 되는 2009년 4월에, 2006년 방송된 14화에 추가로 신작 에피소드 14화를 더해서 총 28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방송했다. 신작 에피소드는 제2권 '한숨',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의 일부를 담고 있다.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2006년판 14화는 시간 순서대로,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추가 에피소드 14화를 삽입해 짜여졌다. 방영 당시에는 시리즈 전체의 구조나 다음 회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ref>월간 뉴타입 등의 애니메이션 잡지에 게시된 프로그램 안내 등 방송 전에 상세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단, 방송일시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었다.</ref> 새로운 에피소드에 대한 기대와 함께, 어떤 작품이 될 것인가에 대해 인터넷상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ref name="신작소동 기사">[http://www.j-cast.com/2009/04/03038834.html <스즈미야 하루히> 신작소동. 전체 재방송이었는데...], J-CAST 뉴스.</ref>
2006년판 14화는 시간 순서대로,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추가 에피소드 14화를 삽입해 짜여졌다. 방영 당시에는 시리즈 전체의 구조나 다음 회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ref>월간 뉴타입 등의 애니메이션 잡지에 게시된 프로그램 안내 등 방송 전에 상세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단, 방송일시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었다.</ref> 새로운 에피소드에 대한 기대와 함께, 어떤 작품이 될 것인가에 대해 인터넷상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ref name="신작소동 기사">[http://www.j-cast.com/2009/04/03038834.html <스즈미야 하루히> 신작소동. 전체 재방송이었는데...], J-CAST 뉴스.</ref>


258번째 줄: 179번째 줄:
: 총 5차례에 걸쳐 방영된 에피소드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은 등장인물의 대화 중에 갑자기 화가 종료되고, 그 뒷이야기를 다음 화에서 재개하는 연출을 사용했기 때문에, 각 화의 오프닝 엔딩을 제외하면 한 덩어리의 장편 에피소드를 5조각으로 나눈 듯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총 5차례에 걸쳐 방영된 에피소드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은 등장인물의 대화 중에 갑자기 화가 종료되고, 그 뒷이야기를 다음 화에서 재개하는 연출을 사용했기 때문에, 각 화의 오프닝 엔딩을 제외하면 한 덩어리의 장편 에피소드를 5조각으로 나눈 듯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제작진 ====
=== 제작진 ===
{{분할 시작|2}}
* 원작 및 제작협력 : 타니가와 나가루
* 원작 및 제작협력 : 타니가와 나가루
* 원작 일러스트 : 이토 노이지
* 원작 일러스트 : 이토 노이지
270번째 줄: 190번째 줄:
* 미술감독 : 타무라 세이키
* 미술감독 : 타무라 세이키
* 색채설계 : 이시다 나오미
* 색채설계 : 이시다 나오미
{{분할|2}}
* 촬영감독 : 나카가미 류타
* 촬영감독 : 나카가미 류타
* 편집 : 시게무라 켄고
* 편집 : 시게무라 켄고
280번째 줄: 199번째 줄:
* 제작협력 : 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미디어하우스
* 제작협력 : 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미디어하우스
* 제작 : SOS단 (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영화, 쿄토 애니메이션, 클락 웍스, 란티스)
* 제작 : SOS단 (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영화, 쿄토 애니메이션, 클락 웍스, 란티스)
{{분할 끝}}


==== 주제가 ====
=== 주제가 ===
* 화수 표시는 TV판 기준이다.
* 화수 표시는 TV판 기준이다.


; 오프닝
; 오프닝
* '''모험이죠 그렇죠?''' {{원|冒険でしょでしょ?}} : 1~5화, 7화, 9~11화, 25~28화
* '''모험이죠 그렇죠?''' (冒険でしょでしょ?) : 1~5화, 7화, 9~11화, 25~28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토미타 아키코 / 편곡 : 후지타 쥰페이 / 노래 : 히라노 아야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토미타 아키코 / 편곡 : 후지타 쥰페이 / 노래 : 히라노 아야
* '''Super Driver''' : 12~22화
* '''Super Driver''' : 12~22화
292번째 줄: 210번째 줄:


; 엔딩
; 엔딩
* '''맑게맑게 유쾌하게''' {{원|ハレ晴レユカイ}} : 1~7화, 9~11화, 25~28화
* '''맑게맑게 유쾌하게''' (ハレ晴レユカイ) : 1~7화, 9~11화, 25~28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모험이죠 그렇죠?''' : 6화
* '''모험이죠 그렇죠?''' : 6화
** 위의 오프닝곡이 제6화의 엔딩으로 쓰였다.
** 위의 오프닝곡이 제6화의 엔딩으로 쓰였다.
* '''멈춰라!''' {{원|止まれ!}} : 8화, 12~24화
* '''멈춰라!''' (止まれ!) : 8화, 12~24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 : 타시로 토모카즈 / 편곡 : 안도 타카히로 / 노래 :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삽입곡
; 삽입곡
* '''사랑의 미쿠루 전설''' {{원|恋のミクル伝説}} : 1화
* '''사랑의 미쿠루 전설''' (恋のミクル伝説) : 1화
** 작사 : 스즈미야 하루히 (야마모토 유타카) / 작사, 작곡 : 스즈미야 하루히 (코우사키 사토루) / 노래 : 아사히나 미쿠루 (CV. 고토 유코)
** 작사 : 스즈미야 하루히 (야마모토 유타카) / 작사, 작곡 : 스즈미야 하루히 (코우사키 사토루) / 노래 : 아사히나 미쿠루 (CV. 고토 유코)
* '''God kows...''' : 12화
* '''God kows...''' : 12화
317번째 줄: 235번째 줄: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00',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조릿대잎 랩소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오프닝 주제가가 생략되었다. 그러나, 제1화는 본편 자체가 극중 영화의 주제가 <사랑의 미쿠루 전설>로 시작하기 때문에 제1화의 오프닝 주제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00',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조릿대잎 랩소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오프닝 주제가가 생략되었다. 그러나, 제1화는 본편 자체가 극중 영화의 주제가 <사랑의 미쿠루 전설>로 시작하기 때문에 제1화의 오프닝 주제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나가토 유키쨩의 소실 ===
{{참조|나가토 유키쨩의 소실#애니메이션}}
2015년 2분기에는 스핀오프 코믹스인 <[[나가토 유키쨩의 소실]]>이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 웹 애니메이션 ==
== 웹 애니메이션 ==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파생 작품}}
2009년판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되기 전에,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를 통해 스트리밍된 웹 애니메이션. 2009년 2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총 25화 구성으로 방영된 <스즈미야 하루히쨩의 우울>과, 동시기에 같이 스트리밍된 13화 구성의 <뇨롱☆츄루야 씨>가 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정보상자/애니메이션
|구분 =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제목/일어 = 涼宮ハルヒの消失
|제목/영어 = The Disappearance of Haruhi Suzumiya
|장르 = 학원 코미디, SF
|개봉일/년 = 2010
|개봉일/월 = 2
|개봉일/일 = 6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구성 =
|각본 = 시모 후미히코
|연출 = 야마다 나오코 외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쇼코]]
|음악 = 코우사키 사토루 외
|제작사 = [[쿄토 애니메이션]]
|상영시간 = 163분
|공식사이트 = http://www.haruhi.tv/ & http://www.kyotoanimation.co.jp/haruhi/movie/
<!-- 국내 발매정보 -->
|국내명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국내개봉일/년 = 2010
|국내개봉일/월 = 11
|국내개봉일/일 = 11
|수입사 = 크래커픽쳐스
|공식사이트/국내 =
}}
2010년 2월 6일에 개봉한 극장판 애니메이션 작품. 국내에도 수입되어 2010년 11월 11일에 공개되었다. 상영시간 총 163분의 분량.
=== 제작진 ===
=== Blu-ray/DVD ===
== 캐릭터송 ==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디스코그라피}}


== 주석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관련 사이트 ==
[[분류:애니메이션]]
* {{언어|일}} [http://www.haruhi.tv/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공식 사이트]
[[분류: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언어|일}} [http://www.haruhi.tv/fanclub/ 사이트내 공식 팬클럽 페이지]
* {{언어|일}} [http://www.kyotoanimation.co.jp/haruhi/ 쿄토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공식 사이트]
* {{언어|일}} [http://www.kyotoanimation.co.jp/haruhi/movie/ 쿄토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공식 사이트]
 
{{장르|학원 코미디 SF}}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