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작품 ==
== 작품 ==
[[파일: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로고.png|thumb|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권)의 공식 로고]]
[[파일: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로고.png|thumb|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권)의 공식 로고]]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원|涼宮ハルヒシリーズ}}는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와 일러스트레이터 [[이토 노이지]]가 지은 [[라이트 노벨]] 작품,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코믹스]],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미디어 믹스들을 가리킨다. 소설과 만화 각 권, 애니메이션 각 시즌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돌림자로 된 제목을 갖고 있다.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涼宮ハルヒシリーズ)는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와 일러스트레이터 [[이토 노이지]]가 지은 [[라이트 노벨]] 작품,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코믹스]],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미디어 믹스들을 가리킨다. 소설과 만화 각 권, 애니메이션 각 시즌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돌림자로 된 제목을 갖고 있다.


이 작품은 괴짜 여고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만든 학교의 비공식 클럽 'SOS단' 멤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미묘하게 비일상적인 학원 스토리'로서, 이야기의 진행은 주인공 남고생 [[쿈]]의 시점에서 1인칭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 작품은 괴짜 여고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만든 학교의 비공식 클럽 'SOS단' 멤버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미묘하게 비일상적인 학원 스토리'로서, 이야기의 진행은 주인공 남고생 [[쿈]]의 시점에서 1인칭 형식으로 진행된다.


; [[#라이트 노벨 (원작)|라이트 노벨]]
; [[#라이트 노벨|라이트 노벨]]
: 원작인 라이트 노벨은 9권까지 발간되었으며, 2010년 9월 기준으로 총 650만부의 판매누계를 기록했다.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제8회 스니커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고,<ref>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 2005, 타카라지마샤, 4-7966-4388-5.</ref> 2005년에는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에서 작품 부문 1위, 2006년에는 6위, 2007년과 2008년에는 2위를 유지하는 등 이 행사에서 연속 베스트 10에 들어간 유일한 작품이었다.<ref>신작을 발굴하는 데 지장이 있으므로 2009년에는 선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30위 가량에 해당하는 투표가 본 작품에 접수되었다는 것이 2009년판 발표에 게시되었다.</ref>
: 원작인 라이트 노벨은 9권까지 발간되었으며, 2010년 9월 기준으로 총 650만부의 판매누계를 기록했다.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제8회 스니커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고,<ref>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 2005, 타카라지마 사, 4-7966-4388-5.</ref> 2005년에는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해!'에서 작품 부문 1위, 2006년에는 6위, 2007년과 2008년에는 2위를 유지하는 등 이 행사에서 연속 베스트 10에 들어간 유일한 작품이었다.<ref>신작을 발굴하는 데 지장이 있으므로 2009년에는 선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30위 가량에 해당하는 투표가 본 작품에 접수되었다는 것이 2009년판 발표에 게시되었다.</ref>


: 9권을 발표한 뒤 오랫동안 휴재 상태였다가, 2010년 4월 30일 더 스니커 2010년 6월호를 통해 '신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의 일부가 선행 공개되었으며<ref>이 때, '올해 중에 단행본의 발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의견이 게재되었다. 그러나 연기 상태로 연말을 끝내게 된다.</ref> 2011년 5월 25일, 마침내 제10, 1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전편, 후편이 발매되었다.
: 9권을 발표한 뒤 오랫동안 휴재 상태였다가, 2010년 4월 30일 더 스니커 2010년 6월호를 통해 '신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의 일부가 선행 공개되었으며<ref>이 때, '올해 중에 단행본의 발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의견이 게재되었다. 그러나 연기 상태로 연말을 끝내게 된다.</ref> 2011년 5월 25일, 마침내 제10, 1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전편, 후편이 발매되었다.


; [[#코믹스|코믹스]]
; [[#코믹스|코믹스]]
: 2004년 5월에는 미즈노 마코토가 월간 소년 에이스 지상에서 코믹스판 <'''[[#미즈노 마코토판|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연재하기 시작했지만, 작가가 계약을 위반하고 이 작품을 테마로 2차 창작에 참여했기 때문에 단행본 1권만에 출판사로부터 발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05년 9월, 만화작가 츠가노 가쿠가 월간 소년 에이스에서 코믹스판 <'''[[#츠가노 가쿠판|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연재해 현재까지도 연재가 계속되고 있다.
: 2004년 5월에는 미즈노 마코토가 월간 소년 에이스 지상에서 코믹스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연재하기 시작했지만, 작가가 계약을 위반하고 이 작품을 테마로 2차 창작에 참여했기 때문에 단행본 1권만에 출판사로부터 발행이 중지되었다. 이후 2005년 9월, 만화작가 츠가노가쿠가 월간 소년 에이스에서 코믹스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연재해 현재까지도 연재가 계속되고 있다.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는 [[쿄토 애니메이션]]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어, TVA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로서 2006년 4월부터 14화 구성으로 방영되었다. 그로부터 정확히 3년 뒤인 2009년 4월에는 TVA 1기의 기존 14화에 새 에피소드 14화를 추가해 같은 제목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 다시 방영되었고, 2010년 2월 6일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개봉되었다.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는 [[쿄토 애니메이션]]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어, TVA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로서 2006년 4월부터 14화 구성으로 방영되었다. 그로부터 정확히 3년 뒤인 2009년 4월에는 TVA 1기의 기존 14화에 새 에피소드 14화를 추가해 같은 제목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 다시 방영되었고, 2010년 2월 6일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개봉되었다.


; [[#라디오|라디오]]
; [[#라디오|라디오]]
96번째 줄: 96번째 줄:
: 미래에 대한 정보와 현대에 이르는 지식 등, 과거의 인간에게 말해서는 안 되는 사항들을 가리킨다(단, 그 정보를 알고 있는 인간에게는 말할 수 있다). 간단하게 '금칙'이라고도 부른다. 미래인은 시간이동 때 강력한 사고조작을 받아 금칙사항에 해당하는 정보는 입에 담을 수 없게 된다. 또, 미래인 개인의 직분과도 관계가 있어서, 자신의 위치에 따라 금칙사항의 제한 범위도 달라진다.
: 미래에 대한 정보와 현대에 이르는 지식 등, 과거의 인간에게 말해서는 안 되는 사항들을 가리킨다(단, 그 정보를 알고 있는 인간에게는 말할 수 있다). 간단하게 '금칙'이라고도 부른다. 미래인은 시간이동 때 강력한 사고조작을 받아 금칙사항에 해당하는 정보는 입에 담을 수 없게 된다. 또, 미래인 개인의 직분과도 관계가 있어서, 자신의 위치에 따라 금칙사항의 제한 범위도 달라진다.


; 기정사항
; 기본사항
: 미래에서 볼 때 과거에 역사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 그러나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각 차원의 미래인들에게 유리한 결과로 이어지는 부분이 '기정사항'으로 불린다.
: 미래에서 볼 때 과거에 역사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 그러나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각 차원의 미래인들에게 유리한 결과로 이어지는 부분이 '기본사항'으로 불린다.


; 시간평면 이론
; 시간평면 이론
126번째 줄: 126번째 줄:


== 배경 ==
== 배경 ==
; 니시노미야 시의 공원
; 니시노미야 시의 공원.
: 극중의 무대가 되는 곳은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가 태어나 현재까지 살고 있는 일본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주변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애니메이션판의 로케이션 헌팅도 여기서 행해졌다.<ref><오피셜 팬북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 70~83쪽.</ref> 그러나, 원작에 실제 지명이 사용되지는 않았다. 지리묘사가 니시노미야시 주변의 지리와 일치한다는 것 외에는 특정 지역을 의식한 묘사는 없다.<ref>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공식 서적 <오피셜 팬북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에서는 '~라고 속삭이고 있다', '~라고도 한다', '~인 듯하다' 같은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면서, 애니메이션판은 니시노미야시의 풍경과 실제 시설을 모델로 했음을 언급했고(68~71쪽), 애니메이션의 로케이션 헌팅을 갔던 것이 '소설의 모델이 된 도시'인 '타니가와 씨의 고향 부근'이라고도 밝혔다(83쪽).</ref> 자리배정을 위해 제비를 넣은 깡통도, 관서 지방에서는 익숙지 않은 하토사브레(과자의 일종) 통이었다.<ref>애니메이션에서는 고베 풍월당의 과자통으로 변경되었다.</ref>
: 극중의 무대가 되는 곳은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가 태어나 현재까지 살고 있는 일본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주변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애니메이션판의 로케이션 헌팅도 여기서 행해졌다.<ref><오피셜 팬북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 70~83쪽.</ref> 그러나, 원작에 실제 지명이 사용되지는 않았다. 지리묘사가 니시노미야시 주변의 지리와 일치한다는 것 외에는 특정 지역을 의식한 묘사는 없다.<ref>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공식 서적 <오피셜 팬북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에서는 '~라고 속삭이고 있다', '~라고도 한다', '~인 듯하다' 같은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면서, 애니메이션판은 니시노미야시의 풍경과 실제 시설을 모델로 했음을 언급했고(68~71쪽), 애니메이션의 로케이션 헌팅을 갔던 것이 '소설의 모델이 된 도시'인 '타니가와씨의 고향 부근'이라고도 밝혔다(83쪽).</ref> 자리배정을 위해 제비를 넣은 깡통도, 관서 지방에서는 익숙지 않은 하토사브레(과자의 일종) 통이었다.<ref>애니메이션에서는 고베 풍월당의 과자통으로 변경되었다.</ref>


; 현립 키타고등학교
; 현립 키타고등학교
154번째 줄: 154번째 줄:


== 라이트 노벨 (원작) ==
== 라이트 노벨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가 지은 [[라이트 노벨]] 작품. 일러스트레이션은 [[이토 노이지]]가 담당했다. 더 스니커 지상에서 2003년 6월호부터 연재해서 9권째에서 긴 휴재기간을 가진 뒤 10권과 11권째가 2011년 5월 25일에 발매되었다.
=== 단행본 ===
{{정보상자/라이트 노벨
{{정보상자/라이트 노벨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186번째 줄: 189번째 줄:
  |공식사이트/국내 =  
  |공식사이트/국내 =  
}}
}}
[[타니가와 나가루]]가 지은 [[라이트 노벨]] 작품. 일러스트레이션은 [[이토 노이지]]가 담당했다. 더 스니커 지상에서 2003년 6월호부터 연재해서 9권째에서 긴 휴재기간을 가진 뒤 10권과 11권째가 2011년 5월 25일에 발매되었다.
=== 단행본 ===
{{탭
{{탭
|1권|
|1권|
195번째 줄: 194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권수 = 1
  |발행일/일본 = 2003년 6월 10일
  |발행일/일본 = 2003년 6월 10일
  |발행일/한국 = 2006년 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6년 2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1-0
  |ISBN/일본 = 4-04-429201-9
  |ISBN/한국 = 978-89-596-3653-2
  |ISBN/한국 = 9788959636532
|넘겨주기 = 파일:라이트 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png
  |설명 =  
  |설명 =  
}}
}}
207번째 줄: 205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권수 =  
  |권수 = 2
  |발행일/일본 = 2003년 10월 1일
  |발행일/일본 = 2003년 10월 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3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6년 3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2-7
  |ISBN/일본 = 4-04-429202-7
  |ISBN/한국 = 978-89-596-3654-9
  |ISBN/한국 = 9788959636549
  |설명 =  
  |설명 =  
}}
}}
218번째 줄: 216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권수 =  
  |권수 = 3
  |발행일/일본 = 2004년 1월 1일
  |발행일/일본 = 2004년 1월 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6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6년 6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3-4
  |ISBN/일본 = 4-04-429204-3
  |ISBN/한국 = 978-89-596-3655-6
  |ISBN/한국 = 9788959636556
  |설명 =  
  |설명 =  
}}
}}
229번째 줄: 227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권수 =  
  |권수 = 4
  |발행일/일본 = 2004년 8월 1일
  |발행일/일본 = 2004년 8월 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7월 3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7월 31일
  |ISBN/일본 = 978-4-04-429204-1
  |ISBN/일본 = 4-04-429204-3
  |ISBN/한국 = 978-89-596-3656-3
  |ISBN/한국 = 9788959636563
  |설명 =  
  |설명 =  
}}
}}
240번째 줄: 238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권수 =  
  |권수 = 5
  |발행일/일본 = 2004년 10월 1일
  |발행일/일본 = 2004년 10월 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8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6년 8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5-8
  |ISBN/일본 = 4-04-429205-1
  |ISBN/한국 = 978-89-596-3657-0
  |ISBN/한국 = 9788959636570
  |설명 =  
  |설명 =  
}}
}}
251번째 줄: 249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
  |권수 =  
  |권수 = 6
  |발행일/일본 = 2005년 4월 1일
  |발행일/일본 = 2005년 4월 1일
  |발행일/한국 = 2006년 10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6년 10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6-5
  |ISBN/일본 = 4-04-429206-X
  |ISBN/한국 = 978-89-596-3658-7
  |ISBN/한국 = 9788959636587
  |설명 =  
  |설명 =  
}}
}}
262번째 줄: 260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음모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음모
  |권수 =  
  |권수 = 7
  |발행일/일본 = 2005년 9월 1일
  |발행일/일본 = 2005년 9월 1일
  |발행일/한국 = 2007년 1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7년 1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7-2
  |ISBN/일본 = 4-04-429207-8
  |ISBN/한국 = 978-89-252-0914-2
  |ISBN/한국 = 9788925209142
  |설명 =  
  |설명 =  
}}
}}
273번째 줄: 271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분개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분개
  |권수 =  
  |권수 = 8
  |발행일/일본 = 2006년 5월 1일
  |발행일/일본 = 2006년 5월 1일
  |발행일/한국 = 2007년 3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7년 3월 15일
  |ISBN/일본 = 978-4-04-429208-9
  |ISBN/일본 = 4-04-429208-6
  |ISBN/한국 = 978-89-252-0915-9
  |ISBN/한국 = 9788925209159
  |설명 =  
  |설명 =  
}}
}}
284번째 줄: 282번째 줄: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분열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분열
  |권수 =  
  |권수 = 9
  |발행일/일본 = 2007년 4월 1일
  |발행일/일본 = 2007년 4월 1일
  |발행일/한국 = 2007년 8월 5일
  |발행일/한국 = 2007년 8월 5일
  |ISBN/일본 = 978-4-04-429209-6
  |ISBN/일본 = 4-04-429209-6
  |ISBN/한국 = 978-89-252-1586-0
  |ISBN/한국 = 9788925215860
  |설명 =  
  |설명 =  
}}
}}
294번째 줄: 292번째 줄: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전)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전편
  |권수 =  
  |권수 = 10
  |발행일/일본 = 2011년 5월 25일
  |발행일/일본 = 2012년 5월 25일
|발행일2/일본 = 2011년 6월 15일
  |발행일/한국 =  
  |발행일/한국 = 2011년 5월 25일
  |ISBN/일본 = 4-04-429211-9
  |ISBN/일본 = 978-4-04-429210-2{{덧|초회 한정판 (전후편 합본)}}
  |ISBN/한국 = 9788925279022
|ISBN2/일본 = 978-4-04-429211-9
  |ISBN/한국 = 978-89-252-7902-2
  |설명 =  
  |설명 =  
}}
}}
307번째 줄: 303번째 줄:
{{단행본
{{단행본
  |종류 = 라노베
  |종류 = 라노베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후)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후편
  |권수 =  
  |권수 = 11
  |발행일/일본 = 2011년 5월 25일
  |발행일/일본 = 2012년 5월 25일
|발행일2/일본 = 2011년 6월 15일
  |발행일/한국 =  
  |발행일/한국 = 2011년 5월 25일
  |ISBN/일본 = 4-04-429212-6
  |ISBN/일본 = 978-4-04-429210-2{{덧|초회 한정판 (전후편 합본)}}
  |ISBN/한국 = 9788925279039
|ISBN2/일본 = 978-4-04-429212-6
  |ISBN/한국 = 978-89-252-7903-9
  |설명 =  
  |설명 =  
}}
}}
}}
}}


=== 본편 미수록 작품 ===
=== 파생 작품 ===
; 본편 이외의 작품
; 본편 이외의 작품
* 하루히 극장 (<더 스니커> 2004년 8월호 게재, 2008년 12월호에 다시 게재, S BLUE 더 스니커 100호 기념선집에 수록)
* 하루히 극장 (<더 스니커> 2004년 8월호 게재, 2008년 12월호에 다시 게재, S BLUE 더 스니커 100호 기념선집에 수록)
327번째 줄: 321번째 줄:
* 섬데이 인 더 레인 (<더 스니커> 2006년 8월호 게재, 원작자가 TVA용으로 새로 쓴 오리지널 각본)
* 섬데이 인 더 레인 (<더 스니커> 2006년 8월호 게재, 원작자가 TVA용으로 새로 쓴 오리지널 각본)


=== 관련 서적 ===
[[파일:오피셜 팬북 스즈미야 하루히의 관측.png|130px|섬네일|오른쪽|스즈미야 하루히의 관측]]
; 팬북
; 팬북
* 오피셜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 (2006년 8월 25일 발매, ISBN 978-4-04-853991-3)
* 오피셜 스즈미야 하루히의 공식 (2006년 8월 25일 ISBN 4-04-853991-4)
* OFFICIAL FANBOOK 스즈미야 하루히의 관측 {{원|OFFICIAL FANBOOK 涼宮ハルヒの観測}}
** {{국기|일본}} 2011년 6월 15일 발매, ISBN 978-4-04-474850-0
** {{국기|한국}} 2011년 12월 20일 발매, ISBN 978-89-252-9131-4


; 캐릭터북
; 캐릭터북
345번째 줄: 334번째 줄:


* 학년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학년을 기준으로 한다.
* 학년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학년을 기준으로 한다.
* 수록된 위치는 원작 라이트 노벨을 기준으로 하며, 코믹스, 애니메이션, 드라마 CD, 게임일 경우 이를 따로 표기한다.
* 수록된 위치는 원작 라노베를 기준으로 하며, 코믹스, 애니메이션, 게임일 경우 이를 따로 표기한다.


{| class="wikitable collapsible collapsed"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collapsible collapsed"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420번째 줄: 409번째 줄:
|-
|-
| 사운드 어라운드 (트랙 #1, 2)
| 사운드 어라운드 (트랙 #1, 2)
| 드라마 CD '[[#드라마 CD|사운드 어라운드]]'
| 드라마 CD '사운드 어라운드'
|-
|-
| 테일즈 프롬 더 사우전드 레이크스 (Tales from the Thousand Lakes)
| 테일즈 프롬 더 사우전드 레이크스 (Tales from the Thousand Lakes)
438번째 줄: 427번째 줄:
| 제4권 '소실'
| 제4권 '소실'
|-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어나더 데이~<ref>연재시에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에필로그~>라고 이름 붙여져 있었다.</ref>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어나더 데이~<ref>연재시에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에필로그~>라고 이름붙여져 있었다.</ref>
| 코믹스 제9권<br>(코믹스 오리지널 스토리)
| 코믹스 제9권<br>(코믹스 오리지널 스토리)
|-
|-
514번째 줄: 503번째 줄:


== 코믹스 ==
== 코믹스 ==
=== 미즈노 마코토판 ===
=== 미즈노 마코토 버전 ===
{{정보상자/코믹스
{{정보상자/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535번째 줄: 524번째 줄:
  |완결/미완결 = 미완결
  |완결/미완결 = 미완결
}}
}}
미즈노 마코토가 지은 코믹스 작품. 월간 소년 에이스 2004년 5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했지만, 그 해 12월에 연재중단되었다. 단행본은 총 1권 발매되었지만 품절과 동시에 재발행 미정 상태이어서 신품 구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2004년 9월호 연재분까지 단행분에 수록됐고, 그 이후의 연재분 중에서 단행본 미수록 화가 없다고 미즈노가 본인의 블로그에서 공언했다. 단행본에는 원작 라이트 노벨 제1권 <우울>의 절반과, 제3권 <무료>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조릿대잎 랩소디'가 실려 있으며, 이야기의 진행은 시간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는다.
미즈노 마코토가 지은 코믹스 작품. 월간 소년 에이스 2004년 5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했지만, 그 해 12월에 연재중단되었다. 단행본은 총 1권 발매되었지만 품절과 동시에 재발행 미정 상태이어서 신품 구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2004년 9월호 연재분까지 단행분에 수록됐고, 그 이후의 연재분 중에서 단행본 미수록 화가 없다고 미즈노가 본인의 블로그에서 공언했다. 단행본에는 원작 라노베 제1권 <우울>의 절반과, 제3권 <무료>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조릿대잎 랩소디'가 실려 있으며, 이야기의 진행은 시간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는다.


연재중단 이후 카도카와 쇼텐은 '미즈노 마코토판'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철저히 처리하고 있으며, 중단 이후부터의 관계자들은 이 '미즈노 마코토판'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중단된 경위에 대해서 신문기자 안도 켄지가 이 작품에 대해 취재 분석한 내용이 저서 <봉인 작품의 우울>에 수록되어 있지만, 이 또한 소문의 한 종류일 뿐이다. 이 저서에 따르면 당시 카도카와 그룹에서 도외시되었던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에서 발매되던 작품이었기 때문에 냉대받던 원작이, 애니화가 결정되면서 갑자기 주목받게 되면서 미디어 믹스 전략으로 보다 원작과 잘 상통하는 만화가로 변경하고자 했던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하고 있다. 연재중에 미즈노가 성인용의 하드코어 '하루히' 동인지를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안도가 입수해 확인한 해당 동인지 <유유자적><ref name="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http://www.mandarake.co.jp/information/2006/12/02/21osk09/index.html 만다라케 우메다점 2F 코믹스 플로어 절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코믹스. 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와 함께 읽어주세요, 만다라케 토픽스]</ref>은 수위가 높은 내용이 아니라고 하며, 소문은 착각이라고 부정했다.
연재중단 이후 카도카와 서점은 '미즈노 마코토 버전'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철저히 처리하고 있으며, 중단 이후부터의 관계자들은 이 '미즈노 마코토 버전'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중단된 경위에 대해서 신문기자 안도 켄지가 이 작품에 대해 취재 분석한 내용이 저서 <봉인작품의 우울>에 수록되어 있지만, 이 또한 소문의 한 종류일 뿐이다. 이 저서에 따르면 당시 카도카와 그룹에서 도외시되었던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에서 발매되던 작품이었기 때문에 냉대받던 원작이, 애니화가 결정되면서 갑자기 주목받게 되면서 미디어 믹스 전략으로 보다 원작과 잘 상통하는 만화가로 변경하고자 했던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하고 있다. 연재중에 미즈노가 성인용의 하드코어 '하루히' 동인지를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안도가 입수해 확인한 해당 동인지 <유유자적><ref name="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http://www.mandarake.co.jp/information/2006/12/02/21osk09/index.html 만다라케 우메다점 2F 코믹스 플로어 절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코믹스. 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와 함께 읽어주세요, 만다라케 토픽스]</ref>은 수위가 높은 내용이 아니라고 하며, 소문은 착각이라고 부정했다.


한편, 본 작품 이후에 카도카와를 통해 배포된 미디어 믹스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코믹스판 1개를 담당하고 있던 쿄고쿠 신이 잡지 연재 말기에 본인의 블로그에서 '자신이 코믹스화를 담당한 작품의 2차 창작 동인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곤란하며, 연재종료 이후에도 상업 연재물로서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캐릭터를 그리는 것은 일절 할 수 없을 것이다' 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카도카와와 계약한 만화가가 자신이 담당한 작품의 캐릭터를 이용한 동인 활동에 대해 엄격한 제한이 요구되고 있음을 은근히 시사하고 있다.<ref>[http://infinitydrive.blog93.fc2.com/blog-date-201006-4.html INFINITY DRIVE], 2010년 6월 5일. 또, 쿄고쿠 신은 이 작품의 연재시작 전에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2차 창작이 많이 포함되어 있던 자신의 기존 홈페이지를 모두 삭제하고 블로그로 자리를 옮겼다.</ref> 만일 본 작품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에서도 동일한 제한을 수반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었다면, 동인지의 내용 여하에 관계없이 활동 자체를 중대한 계약 위반으로 간주, 출판사의 의지로 코믹스의 연재를 중단하는 것에는 당위성이 생기게 된다.<ref name="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 />
한편, 본 작품 이후에 카도카와를 통해 배포된 미디어 믹스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코믹스판 1개를 담당하고 있던 쿄고쿠 신이 잡지연재 말기에 본인의 블로그에서 '자신이 코믹스화를 담당한 작품의 2차 창작 동인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곤란하며, 연재종료 이후에도 상업 연재물로서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캐릭터를 그리는 것은 일절 할 수 없을 것이다' 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카도카와와 계약한 만화가가 자신이 담당한 작품의 캐릭터를 이용한 동인 활동에 대해 엄격한 제한이 요구되고 있음을 은근히 시사하고 있다.<ref>[http://infinitydrive.blog93.fc2.com/blog-date-201006-4.html INFINITY DRIVE], 2010년 6월 5일. 또, 쿄고쿠 신은 이 작품의 연재시작 전에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2차창작이 많이 포함되어 있던 자신의 기존 홈페이지를 모두 삭제하고 블로그로 자리를 옮겼다.</ref> 만일 본 작품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에서도 동일한 제한을 수반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었다면, 동인지의 내용 여하에 관계없이 활동 자체를 중대한 계약 위반으로 간주, 출판사의 의지로 코믹스의 연재를 중단하는 것에는 당위성이 생기게 된다.<ref name="미즈노 마코토의 동인지" />


; 단행본
; 단행본
545번째 줄: 534번째 줄:
** {{국기|일본}} 2004년 9월 1일 초판발행, ISBN 4-04-713658-1
** {{국기|일본}} 2004년 9월 1일 초판발행, ISBN 4-04-713658-1


=== 츠가노 가쿠판 ===
=== 츠가노가쿠 버전 ===
{{정보상자/코믹스
{{정보상자/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559번째 줄: 548번째 줄:
  |연재잡지 = 월간 소년 에이스
  |연재잡지 = 월간 소년 에이스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그림 = 츠가노 가쿠
  |그림 = 츠가노가쿠
  |출판사 = 카도카와 쇼텐
  |출판사 = 카도카와 서점
  |레이블 = 월간 코믹스 에이스
  |레이블 = 월간 코믹스 에이스
  |권수 = 20권 (제1부)
  |권수 = 19권
  |완결/미완결 = 완결
  |완결/미완결 = 완결
  |공식사이트 =  
  |공식사이트 =  
<!-- 국내 출판정보 -->
<!-- 국내 출판정보 -->
  |국내명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국내명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국내출판시작/년 = 2007
  |국내출판시작/년 =  
  |국내출판시작/월 = 12
  |국내출판시작/월 =  
  |국내출판시작/일 = 24
  |국내출판시작/일 =  
  |국내출판종료/년 = 2014
  |국내출판종료/년 =  
  |국내출판종료/월 = 8
  |국내출판종료/월 =  
  |국내출판종료/일 = 21
  |국내출판종료/일 =  
  |출판사/국내 = 대원씨아이
  |출판사/국내 = 대원씨아이
  |레이블/국내 =  
  |레이블/국내 =  
  |번역 = 오경화
  |번역 = 오경화
  |권수/국내 = 20권
  |권수/국내 = 16권
  |공식사이트/국내 =  
  |공식사이트/국내 =  
}}
}}
츠가노 가쿠의 코믹스 작품으로, 월간 소년 에이스 2005년 11월호부터 연재를 개시했다. 또, 월간 소년 에이스의 증간지 <에이스 어설트>에서도 2007년 SUMMER호에서 단편을 연재하고 있었지만, 2009년 SPRING호를 마지막으로 <에이스 어설트>가 종료될 때 같이 종료되었다. 월간 소년 에이스 지상에서는 2013년 11월호에서 제1부를 완결했다.
츠가노가쿠의 코믹스 작품으로, 월간 소년 에이스 2005년 11월호부터 연재를 개시했다. 또, 월간 소년 에이스의 증간 <에이스 어설트>에서도 2007년 SUMMER호에서 단편을 연재하고 있었지만, 2009년 SPRING호를 마지막으로 <에이스 어설트>가 종료될 때 같이 종료되었다. 월간 소년 에이스 지상에서의 연재는 계속되고 있다.


위에 기술한 '미즈노 마코토판'을 통해 코믹스화된 부분도 포함해서, 완전히 새로운 출발을 한 작품이다. 또, 원작 라노베와 애니메이션 1기와 달리 거의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ref>단, 라노베 제7권 <음모>의 프롤로그 → 제6권 <동요>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우울' → 제8권 <분개>의 '편집장★일직선!' → 제7권 <음모> 순서로 구성해서 원작의 시간의 흐름에 수정을 가하고 있다.</ref> 다음은 본 코믹스 작품의 구성과, 각 부분에 해당하는 원작 에피소드의 일람이다.
위에 기술한 '미즈노 마코토 버전'을 통해 코믹스화된 부분도 포함해서, 완전히 새로운 출발을 한 작품이다. 또, 원작 라노베와 애니메이션 1기와 달리 거의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ref>단, 라노베 제7권 <음모>의 프롤로그 → 제6권 <동요>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우울' → 제8권 <분개>의 '편집장★일직선!' → 제7권 <음모> 순서로 구성해서 원작의 시간의 흐름에 수정을 가하고 있다.</ref> 다음은 본 코믹스 작품의 구성과, 각 부분에 해당하는 원작 에피소드의 일람이다.


; 각 권이 포함하고 있는 원작의 에피소드
; 각 권이 포함하고 있는 원작의 에피소드
594번째 줄: 583번째 줄:
* 11권 후반부 : 원작 제6권 <폭주>의 '설산증후군'의 나머지 절반 / 원작 제6권 <동요>의 '고양이가 어디 갔지?'
* 11권 후반부 : 원작 제6권 <폭주>의 '설산증후군'의 나머지 절반 / 원작 제6권 <동요>의 '고양이가 어디 갔지?'
* 12권 : 원작 제7권 <음모>의 프롤로그 / 원작 제6권 <동요>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우울' / 원작 제8권 <분개>의 '편집장★일직선!'
* 12권 : 원작 제7권 <음모>의 프롤로그 / 원작 제6권 <동요>의 '아사히나 미쿠루의 우울' / 원작 제8권 <분개>의 '편집장★일직선!'
* 17권~20권 : 원작 제10~11권 <경악>


이밖에도 애니메이션에서 오리지널 각색을 추가한 에피소드, 코믹스 오리지널 에피소드도 포함되어 있다.
이밖에도 애니메이션에서 오리지널 각색을 추가한 에피소드, 코믹스 오리지널 에피소드도 포함되어 있다.
602번째 줄: 590번째 줄:
이 작품은 2009년 4월 기준으로, 판매누계 총 350만 부를 돌파했다.<ref><초 월간 하루히>, 2009년 4월 9일, 카도카와 서점 발행, 27쪽.</ref>
이 작품은 2009년 4월 기준으로, 판매누계 총 350만 부를 돌파했다.<ref><초 월간 하루히>, 2009년 4월 9일, 카도카와 서점 발행, 27쪽.</ref>


==== 단행본 ====
;단행본
{{탭
{{탭
|1권|
|1권|
609번째 줄: 597번째 줄: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
  |권수 = 1
  |발행일/일본 = 2006년 4월 22일
  |발행일/일본 = 2006년 4월 26일
  |발행일/한국 = 2008년 1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1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3811-7
  |ISBN/일본 = 4-04-713811-8
  |ISBN/한국 = 978-89-252-2187-8
  |ISBN/한국 = 9788925221878
  |설명 =  
  |설명 =  
}}
}}
620번째 줄: 608번째 줄: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2
  |권수 = 2
  |발행일/일본 = 2006년 6월 23일
  |발행일/일본 = 2006년 6월 26일
  |발행일/한국 = 2008년 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2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3831-5
  |ISBN/일본 = 4-04-713831-2
  |ISBN/한국 = 978-89-252-2239-4
  |ISBN/한국 = 9788925222394
  |설명 =  
  |설명 =  
}}
}}
631번째 줄: 619번째 줄: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3
  |권수 = 3
  |발행일/일본 = 2006년 12월 22일
  |발행일/일본 = 2006년 12월 26일
  |발행일/한국 = 2008년 3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3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3885-8
  |ISBN/일본 = 4-04-713885-1
  |ISBN/한국 = 978-89-252-2358-2
  |ISBN/한국 = 9788925223582
  |설명 =  
  |설명 =  
}}
}}
643번째 줄: 631번째 줄:
  |권수 = 4
  |권수 = 4
  |발행일/일본 = 2007년 6월 9일
  |발행일/일본 = 2007년 6월 9일
|발행일2/일본 = 2007년 6월 26일
  |발행일/한국 = 2008년 4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4월 15일
  |ISBN/일본 = 978-4-04-900784-8{{|한정판}}
  |ISBN/일본 = 978-4-04-900784-8 (한정판)<br>{{국기|일본}} 2007년 6월 26일 발행, ISBN 978-4-04-713923-7 (통상판)
|ISBN2/일본 = 978-4-04-713923-7{{덧|통상판}}
  |ISBN/한국 = 9788925224343
  |ISBN/한국 = 978-89-252-2434-3
  |설명 =  
  |설명 =  
}}
}}
658번째 줄: 644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08년 5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5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3981-7
  |ISBN/일본 = 978-4-04-713981-7
  |ISBN/한국 = 978-89-252-2580-7
  |ISBN/한국 = 9788925225807
  |설명 =  
  |설명 =  
}}
}}
669번째 줄: 655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08년 1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8년 12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061-4
  |ISBN/일본 = 978-4-04-715061-4
  |ISBN/한국 = 978-89-252-3520-2
  |ISBN/한국 = 9788925235202
  |설명 =  
  |설명 =  
}}
}}
680번째 줄: 666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09년 4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9년 4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148-2
  |ISBN/일본 = 978-4-04-715148-2
  |ISBN/한국 = 978-89-252-4247-7
  |ISBN/한국 = 9788925242477
  |설명 =  
  |설명 =  
}}
}}
691번째 줄: 677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09년 7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9년 7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208-3
  |ISBN/일본 = 978-4-04-715208-3
  |ISBN/한국 = 978-89-252-4616-1
  |ISBN/한국 = 9788925246161
  |설명 =  
  |설명 =  
}}
}}
702번째 줄: 688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09년 1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09년 12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269-4
  |ISBN/일본 = 978-4-04-715269-4
  |ISBN/한국 = 978-89-252-5303-9
  |ISBN/한국 = 9788925253039
  |설명 =  
  |설명 =  
}}
}}
713번째 줄: 699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10년 2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0년 2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302-8
  |ISBN/일본 = 978-4-04-715302-8
  |ISBN/한국 = 978-89-252-5609-2
  |ISBN/한국 = 9788925256092
  |설명 =  
  |설명 =  
}}
}}
724번째 줄: 710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10년 7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0년 7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429-2
  |ISBN/일본 = 978-4-04-715429-2
  |ISBN/한국 = 978-89-252-6369-4
  |ISBN/한국 = 9788925263694
  |설명 =  
  |설명 =  
}}
}}
735번째 줄: 721번째 줄:
  |발행일/한국 = 2011년 1월 15일
  |발행일/한국 = 2011년 1월 15일
  |ISBN/일본 = 978-4-04-715544-2
  |ISBN/일본 = 978-4-04-715544-2
  |ISBN/한국 = 978-89-252-7224-5
  |ISBN/한국 = 9788925272245
  |설명 =  
  |설명 =  
}}
}}
744번째 줄: 730번째 줄:
  |권수 = 13
  |권수 = 13
  |발행일/일본 = 2011년 2월 26일
  |발행일/일본 = 2011년 2월 26일
  |발행일/한국 = 2011년 4월 27일
  |발행일/한국 =  
  |ISBN/일본 = 978-4-04-715656-2
  |ISBN/일본 = 978-4-04-715656-2
  |ISBN/한국 = 978-89-252-7741-7
  |ISBN/한국 =  
|설명 =
}}
|14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4
|발행일/일본 = 2011년 5월 26일
|발행일/한국 = 2011년 9월 9일
|ISBN/일본 = 978-4-04-715698-2
|ISBN/한국 = 978-89-252-8453-8
|설명 =
}}
|15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5
|발행일/일본 = 2011년 12월 22일
|발행일/한국 = 2012년 7월 26일
|ISBN/일본 = 978-4-04-715804-7
|ISBN/한국 = 978-89-672-5030-0
|설명 =
}}
|16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6
|발행일/일본 = 2012년 3월 19일
|발행일/한국 = 2012년 9월 14일
|ISBN/일본 = 978-4-04-120185-5
|ISBN/한국 = 978-89-672-5350-9
|설명 =
}}
|17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7
|발행일/일본 = 2012년 11월 22일
|발행일/한국 = 2013년 4월 19일
|ISBN/일본 = 978-4-04-120459-7
|ISBN/한국 = 978-89-682-2220-7
|설명 =
}}
|18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8
|발행일/일본 = 2013년 3월 21일
|발행일/한국 = 2013년 8월 23일
|ISBN/일본 = 978-4-04-120644-7
|ISBN/한국 = 978-89-682-2626-7
|설명 =
}}
|19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19
|발행일/일본 = 2013년 6월 22일
|발행일/한국 = 2014년 3월 12일
|ISBN/일본 = 978-4-04-120741-3
|ISBN/한국 = 979-11-562-5293-1
|설명 =
}}
|20권|
{{단행본
|종류 = 코믹스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권수 = 20
|발행일/일본 = 2013년 12월 24일
|발행일/한국 = 2014년 8월 21일
|ISBN/일본 = 978-4-04-120956-1
|ISBN/한국 = 979-11-562-5741-7
  |설명 =  
  |설명 =  
}}
}}
}}
}}


==== 번외편 ====
; 패러렐 번외편 I 신데렐라 스토리는 갑자기
; 패러렐 번외편 신데렐라 스토리는 갑자기
: 코믹스 제8권에 게재된 번외편. 'SO3사'는 세계를 오지게 떠들썩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구를 3번 파괴하는 것이 불가피 회사'의 준말. SO3사의 사장은 스즈미야 하루히이며, 부사장은 코이즈미 이츠키, 그밖에 소속 아이돌로 아사히나 미쿠루, 사원으로 쿈이 있으며, 나가토 유키'는 스즈미야 하루히에 의해 발굴된 아이돌로, 나가토 유키의 이름은 스즈미야 하루히가 붙인 예명이자 본명은 알 수 없다는 설정이다. 데뷔 후 행성 전체에 대히트하며, 이 때 발매된 노래의 제목은 '노리액션 걸'. 그러나 그 정체는 '동일 시간축에 동시에 존재하는 세계(패러렐 월드)'를 관측하는 존재였다.
: 코믹스 제8권에 게재된 번외편. 'SO3사'는 세계를 오지게 떠들썩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구를 3번 파괴하는 것이 불가피 회사'의 준말. SO3사의 사장은 스즈미야 하루히이며, 부사장은 코이즈미 이츠키, 그밖에 소속 아이돌로 아사히나 미쿠루, 사원으로 쿈이 있으며, 나가토 유키'는 스즈미야 하루히에 의해 발굴된 아이돌로, 나가토 유키의 이름은 스즈미야 하루히가 붙인 예명이자 본명은 알 수 없다는 설정이다. 데뷔 후 행성 전체에 대히트하며, 이 때 발매된 노래의 제목은 '노리액션 걸'. 그러나 그 정체는 '동일 시간축에 동시에 존재하는 세계(패러렐 월드)'를 관측하는 존재였다.


; 패러렐 번외편 미쿠룽 달러 베이비
; 패러렐 번외편 II 미쿠룽 달러 베이비
: 코믹스 제8권에 게재된 번외편. 아사히나 미쿠루는 'SOS짐'에 소속된 복서이자 최강의 챌린저로, 'SOS짐'에 대한 보은의 의미로 이적 이야기를 받으려 하고 있다. SOS단의 짐 오너는 스즈미야이며, 나가토 유키는 최강의 챔피언으로 등장한다.
: 코믹스 제8권에 게재된 번외편. 아사히나 미쿠루는 'SOS짐'에 소속된 복서이자 최강의 챌린저로, 'SOS짐'에 대한 보은의 의미로 이적 이야기를 받으려 하고 있다. SOS단의 짐 오너는 스즈미야이며, 나가토 유키는 최강의 챔피언으로 등장한다.


; 패러렐 번외편 메이지 38년의 전신, 오늘 날씨는 맑을 것
; 패러렐 번외편 III 메이지 38년의 전신, 오늘 날씨는 맑을 것
: 코믹스 제9권에 실린 번외편. 스즈미야는 동네에서 유명한 여걸(おきゃん)로, '에스 오 에스 단'이라는 집단에서 5차원의 '투다회'<ref>본디 일본 전국시대와 관련이 있는 유서깊은 오락으로, 현재는 차의 품질을 감정하는 경기로서 다뤄진다.</ref>를 연다. 박사는 스즈미야의 행동으로부터 작품 <도련님>의 구상을 가다듬는 중.
: 코믹스 제9권에 실린 번외편. 스즈미야는 동네에서 유명한 여걸(おきゃん)로, '에스 오 에스 단'이라는 집단에서 5차원의 '투다회'<ref>본디 일본 전국시대와 관련이 있는 유서깊은 오락으로, 현재는 차의 품질을 감정하는 경기로서 다뤄진다.</ref>를 연다. 박사는 스즈미야의 행동으로부터 작품 <도련님>의 구상을 가다듬는 중.


842번째 줄: 750번째 줄:


=== 앤솔로지 ===
=== 앤솔로지 ===
시리즈의 공식 앤솔로지. 모두 카도카와 쇼텐을 통해 발매되었다.
시리즈의 공식 앤솔로지. 모두 카도카와 서점을 통해 발매되었다.


<gallery>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연''' (2009년 3월 26일 초판발행, ISBN 978-4-04-715226-7)
파일:코믹스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연.png|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연
** 본 시리즈 최초의 앤솔로지. <토라도라!>의 삽화를 담당한 야스 등 총 24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푸요가 담당했다.
파일:코믹스 스즈미야 하루히의 축제.png|스즈미야 하루히의 축제
* '''스즈미야 하루히의 축제''' (2009년 7월 25일 초판발행, ISBN 978-4-04-715277-9)
파일:코믹스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png|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
</gallery>
 
*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연''' {{원|涼宮ハルヒの競演}}
** {{국기|일본}} 2009년 3월 26일 발행, ISBN 978-4-04-715226-7
** {{국기|한국}} 2015년 4월 9일 발행, ISBN 979-11-562-5973-2
** 본 시리즈 최초의 앤솔로지. <[[토라도라!]]>의 삽화를 담당한 야스 등 총 24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푸요가 담당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축제''' {{원|涼宮ハルヒの祝祭}}
** {{국기|일본}} 2009년 7월 25일 발행, ISBN 978-4-04-715277-9
** {{국기|한국}} 2015년 5월 15일 발행, ISBN 979-11-575-4663-3
** 두 번째 앤솔로지. <이카리 신지 육성계획>의 타카하시 오사무 등 총 25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이토 노이지가 담당했다.
** 두 번째 앤솔로지. <이카리 신지 육성계획>의 타카하시 오사무 등 총 25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이토 노이지가 담당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 (2009년 12월 26일 초판발행, ISBN 978-4-04-715359-2)
*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 {{원|涼宮ハルヒの絢爛}}
** 세 번째 앤솔로지. 총 27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츠가노가쿠가 담당했다.
** {{국기|일본}} 2009년 12월 26일 초판 발행, ISBN 978-4-04-715346-2
* '''쿈 & 코이즈미의 역경''' (2009년 12월 26일 초판발행, ISBN 978-4-04-715359-2)
** {{국기|한국}} 2015년 6월 18일 발행, ISBN 979-11-575-4755-5
** 세 번째 앤솔로지. 총 27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츠가노 가쿠가 담당했다.
 
* '''쿈 & 코이즈미의 재난''' {{원|キョン&古泉の災難}}
** {{국기|일본}} 2009년 12월 26일 초판 발행, ISBN 978-4-04-715359-2
** {{국기|한국}} 2012년 8월 15일 발행, ISBN 978-89-6725-029-4
** 쿈과 코이즈미 이츠키를 메인으로 한 작품을 모은 최초의 앤솔로지. 위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과 동시에 발매되었다. 총 18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쇼오토 아야가 담당했다.
** 쿈과 코이즈미 이츠키를 메인으로 한 작품을 모은 최초의 앤솔로지. 위의 <스즈미야 하루히의 현란>과 동시에 발매되었다. 총 18명의 작가가 그린 만화와 일러스트가 수록되어 있으며, 커버 일러스트는 쇼오토 아야가 담당했다.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 TV 애니메이션 ===
=== TV 애니메이션 ===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


타니가와 나가루의 라이트 노벨을 바탕으로 [[쿄토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1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14화 구성으로 방영되었다. 원작 제1권 <우울> 이외에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 제6권 <동요>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작가 타니가와가 직접 새로 쓴 오리지널 스토리에 기반하고 있다.
타니가와의 라노베를 바탕으로 [[쿄토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1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14화 구성으로 방영되었다. 원작 제1권 <우울> 이외에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 제6권 <동요>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작가 타니가와가 직접 새로 쓴 오리지널 스토리에 기반하고 있다.


첫 시리즈가 방영한 뒤 정확히 3년이 되는 2009년 4월에는, 2006년 방송된 14화에 추가로 신작 에피소드 14화를 더해서 총 28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방송했다. 신작 에피소드는 제2권 <한숨>,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의 일부를 담고 있다.
첫 시리즈가 방영한 뒤 정확히 3년이 되는 2009년 4월에는, 2006년 방송된 14화에 추가로 신작 에피소드 14화를 더해서 총 28화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방송했다. 신작 에피소드는 제2권 <한숨>, 제3권 <무료>, 제5권 <폭주>의 일부를 담고 있다.
2015년 4월에는 스핀오프 코믹스인 <[[나가토 유키쨩의 소실]]>이 TV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되었다.


=== 웹 애니메이션 ===
=== 웹 애니메이션 ===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파생 작품}}
{{참조|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파생 작품}}


2009년판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되기 전에,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인 Youtube를 통해 스트리밍된 웹 애니메이션. 2009년 2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총 25화 구성으로 방영된 <[[스즈미야 하루히쨩의 우울]]>과, 동시기에 같이 스트리밍된 13화 구성의 <뇨롱☆츄루야 씨>가 있다. 각 작품은 동명의 코믹스 작품 내용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상세정보는 링크된 문서를 참조.
2009년판 TV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방영되기 전에,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인 Youtube를 통해 스트리밍된 웹 애니메이션. 2009년 2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총 25화 구성으로 방영된 <스즈미야 하루히쨩의 우울>과, 동시기에 같이 스트리밍된 13화 구성의 <뇨롱☆츄루야 씨>가 있다. 각 작품은 동명의 코믹스 작품 내용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상세정보는 링크된 문서를 참조.


=== 극장판 애니메이션 ===
=== 극장판 애니메이션 ===
891번째 줄: 781번째 줄:


== 드라마 CD ==
== 드라마 CD ==
{{정보상자/드라마 CD
애니메이션의 관련 상품으로서 2007년 1월 24일에 발매된 드라마 CD. 타이틀은 '''사운드 어라운드'''(Sound Around).
|구분 = 드라마 CD
|제목 = 사운드 어라운드
|제목/일어 = サウンドアラウンド
|제목/영어 = Sound Around
|장르 = 학원, SF
|발매일/년 = 2007
|발매일/월 = 1
|발매일/일 = 24
|길이 = 66분 8초
|화수 =
|제작 =
|레이블 = 란티스
|규격번호 = LACA-5585
|출연 = * 쿈 (CV. [[스기타 토모카즈]])
* [[스즈미야 하루히]] (CV. [[히라노 아야]])
* [[나가토 유키]] (CV. [[치하라 미노리]])
* 아사히나 미쿠루 (CV. [[고토 유코]])
* 코이즈미 이츠키 (CV. [[오노 다이스케]])
* 츠루야 선배 (CV. [[마츠오카 유키]])
* 쿈 여동생 (CV. [[아오키 사야카]])
* 타니구치 (CV. [[시라이시 미노루]])
|각본 = 시모 후미히코
|연출 =
|공식사이트 = [http://www.lantis.jp/release-item2.php?id=e0f33501975d6666fd2f268d1945f71d 란티스의 소개 페이지]
}}
 
TV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관련 상품으로서 2007년 1월 24일에 발매된 [[드라마 CD]]. 타이틀은 '''사운드 어라운드'''(Sound Around). '라이브 어라이브'의 후일담이라는 설정으로, 원안은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집필했으며 각본은 애니메이션 본편에서도 각본을 맡은 시모 후미히코가 썼다. 트랙 내에는 드라마 외에도 엔딩 테마 'First Good-Bye'도 수록되어 있다.
 
;트랙
# 프롤로그 ~스즈미야 하루히의 인사~ [1:35]
# 애프터 라이브 어라이브 [8:11]
# 선데이 앳 헤비메타 SOS단 [8:33]
# 디 오디션 [6:15]
# 하루히 변주곡 [11:09]
# 비물질 확산성 진동형 감지 음파 [7:38]
# VS 사운드 웜 (명명, 나) [5:48]
# 보이스의 카오스 [7:49]
# 에필로그 ~축제 소동은 아직 한참 남았다~ [6:33]
# First Good-Bye [4:37]
 
;주제가
* 엔딩 '''First Good-Bye'''
** 노래 : 스즈미야 하루히 (CV. [[히라노 아야]])
** 작사 : 하타 아키 / 작곡·편곡 : 코사키 사토루


== 라디오 ==
== 라디오 ==
{{정보상자/라디오
|웹/지상파 = 지상파
|제목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
|제목/일어 = 涼宮ハルヒの憂鬱 SOS団ラジオ支部
|제목/영어 =
|애칭 =
|애칭/일어 =
|방송시작/년 = 2006
|방송시작/월 = 2
|방송시작/일 = 3
|방송종료/년 = 2006
|방송종료/월 = 12
|방송종료/일 = 29
|방송국 = 라디오 칸사이, 란티스 넷 라디오
|방송시각 = 매주 금요일
|방송횟수 = 48회
|관련작품 = TV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E-mail =
<!-- 출연 & 제작진 -->
|퍼스널리티 = * [[히라노 아야]] ([[스즈미야 하루히]] 역)
* [[치하라 미노리]] ([[나가토 유키]] 역)
* [[고토 유코]] ([[아사히나 미쿠루]] 역)
|어시스턴트 =
|감독 =
|구성 = 와타나베 쥰야
|각본 =
|연출 =
|제공 =
|공식사이트 =
}}
TV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관련 방송으로서 라디오 칸사이에서 방송되던 라디오 방송. 란티스 넷 라디오에서 1주일 늦게 스트리밍 전송되고 있었다.


== 게임 ==
== 게임 ==
1,007번째 줄: 821번째 줄:
** iPod touch/iPhone 전용 어플리케이션. 카도카와 서점이 개발해서 2010년 7월 15일 공개했다.
** iPod touch/iPhone 전용 어플리케이션. 카도카와 서점이 개발해서 2010년 7월 15일 공개했다.
** 공식사이트 : http://itunes.apple.com/jp/app/tdos3-drill-edition-for-iphone/id381277646?mt=8
** 공식사이트 : http://itunes.apple.com/jp/app/tdos3-drill-edition-for-iphone/id381277646?mt=8
== 디스코그라피 ==
{{참조|/디스코그라피}}


== 주석 ==
== 주석 ==
1,016번째 줄: 827번째 줄: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언어|일}} [http://sneakerbunko.jp/series/haruhi/ 스니커 문고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공식 사이트]
* {{언어|일}} [http://sneakerbunko.jp/series/haruhi/ 스니커 문고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공식 사이트]
* {{언어|일}} [http://sneakerbunko.jp/archives/haruhi-ism/index.html <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 발매 기념! 스페셜 사이트 하루이즘]
* {{언어|일}} [http://voncafe.jp/sp_pages/haruhi_sagittarius3 TDOS3 for iPhone『THE DAY OF SAGITTARIUS III』]


{{장르|학원 코미디 SF}}
{{장르|학원 코미디 SF}}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