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과 = [[코로나바이러스과]]
| 과 = [[코로나바이러스과]]
| 아과 = '''코로나바이러스아과'''
| 아과 = '''코로나바이러스아과'''
| 하위_고리 = 속
| 하위 =
* [[알파코로나바이러스|알파코로나바이러스속]] (''Alphacoronavirus'')
* [[베타코로나바이러스|베타코로나바이러스속]] (''Betacoronavirus'')
* [[감마코로나바이러스|감마코로나바이러스속]] (''Gammacoronavirus'')
* [[델타코로나바이러스|델타코로나바이러스속]] (''Deltacoronavirus'')
}}
}}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의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ref name="groot">{{서적 인용|저자= de Groot RJ, Baker SC, Baric R, Enjuanes L, Gorbalenya AE, Holmes KV, Perlman S, Poon L, Rottier PJM, Talbot PJ, Woo PCY, Ziebuhr J|연도=2011|장= Family ''Coronaviridae'' |제목= Nin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편집자=AMQ King, E Lefkowitz, MJ Adams, and EB Carstens (Eds), |출판사= Elsevier, Oxford|pages=806–828|isbn= 978-0-12-384684-6|display-authors=3|이탤릭체=예}}</ref><ref>{{웹 인용
 
   | author =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의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을 통칭해 이르는 말이다.<ref name="groot">{{서적 인용|저자= de Groot RJ, Baker SC, Baric R, Enjuanes L, Gorbalenya AE, Holmes KV, Perlman S, Poon L, Rottier PJM, Talbot PJ, Woo PCY, Ziebuhr J|연도=2011|장= Family ''Coronaviridae'' |제목= Nin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편집자=AMQ King, E Lefkowitz, MJ Adams, and EB Carstens (Eds), |출판사= Elsevier, Oxford|pages=806–828|isbn= 978-0-12-384684-6|display-authors=3|이탤릭체=예}}</ref><ref>{{웹 인용
   | 공저자 =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 제목 = ICTV Master Species List 2009 – v10
   | 제목 = ICTV Master Species List 2009 – v10
   | 날짜 = 2000-08-24
   | 날짜 = 2000-08-24
   | url =http://talk.ictvonline.org/files/ictv_documents/m/msl/1231/download.aspx
   | url =http://talk.ictvonline.org/files/ictv_documents/m/msl/1231/download.aspx
   | 형식 =xls
   | 형식 =xls
   | postscript = <!--None-->}}</ref> 사람과 동물의 호흡기와 소화기계 감염을 유발한다. 주로 점막전염(粘膜感染), 비말전파(飛沫傳播)쉽게 감염되며, 사람은 일반적으로 경미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지만 드물게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기도 하며, 소와 돼지는 설사, 닭은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 postscript = <!--None-->}}</ref>
 
==설명==
코로나바이러스는 [[니도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과, 코로나바이러스아과 혹은 Torovirinae에 포함된 [[바이러스|바이러스속]]인 종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짧은 간섭 RNA|ssRNA]]와 [[나선형]] [[대칭|대칭형]] [[뉴클레오시드|뉴클레오펩시드]]감싸진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크기는 거의 26에서 32 킬로베이스로 [[RNA 바이러스|RNA바이러스]] 중 가장 크다.<ref>{{웹 인용|url=scienceon.hani.co.kr|제목=사이언스온 - '사우디의 2014 메르스|성=오|이름=철우|날짜=2015. 06. 04|웹사이트=사이언스 온|출판사=|확인날짜=2016-04-09}}</ref>


코로나바이러스는 현대 문명에서 치명적인 감염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다. [[2003년]] [[4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일명 사스가 유행해 사망률 9.6%를 기록하며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 [[2015년]]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일명 메르스가 [[중동]]에서 전 세계로 퍼지면서 사망률 약 36%로써 사망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2019년]] [[12월]]부터 중국 우한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로 확진되면서 감염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치사율은 2020년 2월까지 집계된 자료에 따르면 2.6%로 그나마 낮은 편이지만 중국, 대한민국, 이탈리아, 일본 등에서 확진자가 폭증하는 중이며 아직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승인된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는 없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름은 [[왕관]]이나 [[광륜]]을 뜻하는 라틴 [[코로나]]에서 유래되었고 [[전자 현미경|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많은 부분의 가장자리가 [[]]의 왕관 혹은 [[태양]]의 코로나을 연상시키는 둥글납작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바이론]]의 특징을 나타낸다. [[형태학 (생물학)|형태학]]은 바이러스 표면에 살고 [[숙주]]의 향성을 만드는 단백질인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페플로머에 의해 생성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shutterstock.com/pic-173308637/stock-vector-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html|제목=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성=shutterstock|이름=|날짜=|웹사이트=shtterstock|출판사=|확인날짜=}}</ref>


== 설명 ==
코로나바이러스들의 전반적인 구조에 기여하는 단백질들은 스파이크, 껍질, 멤브레인 그리고 뉴클레오켑시드이다. SARS 코로나바이러스라는 특이한 경우에서 스파이크 위에 있는 확정된 결합수용기 도메인은 바이러스의 부착부분을 이것의 세포의 수용기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로 중재한다. 몇몇 코로나바이러스(특히 [[베타코로나바이러스]] 하위집단 구성원)은 또한 [[항체]] 에스테라아제라고 불리는 단백질 같은 짧은 스파이크를 가진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니도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과, 코로나바이러스아과 혹은 Torovirinae에 포함된 [[바이러스|바이러스속]]인 종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짧은 간섭 RNA|ssRNA]][[나선형]] [[대칭|대칭형]] [[뉴클레오시드|뉴클레오펩시드]]로 감싸진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크기는 거의 26에서 32 킬로베이스로 [[RNA 바이러스|RNA바이러스]] 중 가장 크다.<ref>{{웹 인용 |url=http://scienceon.hani.co.kr |제목=사이언스온 - '사우디의 2014 메르스|성=오|이름=철우|날짜=2015년 6월 4일|웹사이트=사이언스 온|출판사=|확인날짜=2016-04-09}}</ref>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름은 [[왕관]]이나 [[광륜]]을 뜻하는 라틴어 [[코로나]]에서 유래되었고 [[전자 현미경|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많은 부분의 가장자리가 [[왕]]의 왕관 혹은 [[태양]]의 코로나를 연상시키는 둥글납작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바이론]]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 [[형태학 (생물학)|형태학]]은 바이러스 표면에 살고 [[숙주]]의 향성을 만드는 단백질인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페플로머에 의해 생성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shutterstock.com/pic-173308637/stock-vector-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html|제목=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성=shutterstock|이름=|날짜=|웹사이트=shtterstock|출판사=|확인날짜=}}</ref>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감기는, 똑같이 독감으로 불리지만, 원인균의 종류가 다르다.


코로나바이러스들의 전반적인 구조에 기여하는 단백질들은 스파이크, 껍질, 멤브레인 그리고 뉴클레오켑시드이다. SARS 코로나바이러스라는 특이한 경우에서 스파이크 위에 있는 확정된 결합수용기 도메인은 바이러스의 부착부분을 이것의 세포의 수용기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로 중재한다. 몇몇 코로나바이러스(특히 [[베타코로나바이러스]] 하위집단 구성원)는 또한 [[항체]] 에스테라아제라고 불리는 단백질 같은 짧은 스파이크를 가진다.
바이러스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생명체의 핵심인 유전정보를 DNA(디옥시리보핵산)에 담고 있는 ‘DNA 바이러스’와 RNA(리보핵산)에 담고 있는 ‘RNA 바이러스’다. RNA는 DNA에 비해 안정성이 낮아 쉽게 변형된다. 그래서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고 신종 감염병으로 등장할 확률도 높다. 종류와 수도 훨씬 많다.<ref>돼지열병바이러스, 사람이 숙주 아니라 다행, 한겨레21, 2019.09.29.</ref> 코로나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모두 RNA 바이러스이다.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의 관계 ==
[[감기]][[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 200여 종의 바이러스 하나 이상에 감염되어 콧물, 기침, 가래, 발열 등의 증상이 완만하게 지속되다 7~10일이면 사라진다. 반면,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갑자기 오한, 고열, 설사, 근육통이 생기고 3주 이상 지속되며,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ref>남도일보 기고-같은 듯 다른 ‘천의 얼굴, 인플루엔자’, 남도일보, 2018.11.21 18</ref>
[[파일:3D medical animation corona virus.jpg|섬네일|200px|코로나바이러스의 3차원 모형]]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에게 유발되는 일반적 [[감기]] 중 상당 부분의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폐렴]]이나 2차적인 [[세균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이나 2차적인 [[세균성 기관지염]]도 일으킬 수 있다. 2003년에 발견된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를 일으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로, 상부 및 하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독특한 병인을 가지고 있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는 7 가지 변종이 있다.
==질병==
2002년 중국에서 유행했던 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다.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29E (HCoV-229E)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으로 유명한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다.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 (HCoV-OC43)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NL63 (HCoV-NL63, 뉴헤븐 코로나바이러스)
*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
*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HCoV-229E, -NL63, -OC43 및 -HKU1 등은 사람 사이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전세계의 성인과 어린이에게 호흡기 감염을 일으킨다.
[[조류독감]]은 조류 인플루엔자를 말하며, [[인플루엔자]]에 의해 발병하는 질병이므로 코로나바이러스와는 상관이 없다.


==사이토카인 폭풍==
[[돼지독감]]은 돼지 인플루엔자를 말하며, 인플루엔자에 의해 발병하는 질병이므로 코로나바이러스와는 상관이 없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면역기관을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진행시켜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ref>[참고](히트뉴스-바이러스부터 치료제 개발까지…'코로나19 다시보기')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52</ref>


== 같이 보기 ==
== 보기 ==
* [[렘데시비르]]
* [[개 코로나바이러스]]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감기}}
{{전거 통제}}
{{바이러스성 질병}}<br />
{{토막글|의학}}


{{분기|{{FULLPAGENAME}}}}
[[분류:코로나바이러스과]]
[[분류:코로나바이러스과]]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