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의 왕자님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참조
==작품==
|문서1 = /애니메이션 |설명1 = 애니메이션
[[파일:테니스의 왕자님 로고.png|thumbnail|right|250px|본 작품의 공식 로고]]
|문서2 = /게임 |설명2 = 게임
|문서3 = /디스코그라피 |설명3 = 디스코그라피
|문서4 =/성우 유닛 |설명4 = 성우 유닛
}}
 
== 작품 ==
[[파일:테니스의 왕자님 로고.png|썸네일|right|250px|본 작품의 공식 로고]]
'''테니스의 왕자님''' (テニスの王子様)은 [[코노미 타케시]] 글, 그림의 코믹스와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게임, 소설, 라디오 등의 미디어 믹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약칭으로는 '''테니프리''' (テニプリ), '''테니''' (テニ)가 있으며 후속작의 약칭은 '''신 테니프리''' (新テニプリ) 혹은 '''신 테니''' (新テニ).
'''테니스의 왕자님''' (テニスの王子様)은 [[코노미 타케시]] 글, 그림의 코믹스와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게임, 소설, 라디오 등의 미디어 믹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약칭으로는 '''테니프리''' (テニプリ), '''테니''' (テニ)가 있으며 후속작의 약칭은 '''신 테니프리''' (新テニプリ) 혹은 '''신 테니''' (新テニ).


13번째 줄: 6번째 줄:


;[[#코믹스 (원작)|코믹스 (원작)]]
;[[#코믹스 (원작)|코믹스 (원작)]]
:원작은 [[코노미 타케시]]가 글, 그림을 담당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약 9년간 [[주간 소년 점프]]에서 연재되었다. [[슈에이샤]]의 [[점프 코믹스]] 레이블 아래 발매되어, 총 42권으로 완결. 후속작인 신 테니스의 왕자님 역시 코노미 타케시가 글, 그림을 맡았으며 현재도 [[점프 스퀘어]]에서 연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원씨아이가 정식으로 수입발매 하였다.
:원작은 [[코노미 타케시]]가 글, 그림을 담당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약 9년간 [[주간 소년 점프]]에서 연재되었다. [[슈에이샤]]의 [[점프 코믹스]] 레이블 아래 발매되어, 총 42권으로 완결. 후속작인 신 테니스의 왕자님 역시 코노미 타케시가 글, 그림을 맡았으며 현재도 [[점프 스퀘어]]에서 연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원씨아이]]가 정식으로 수입발매 하였다.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41번째 줄: 34번째 줄:


==등장인물==
==등장인물==
{{참조|/등장인물}}
{{참조|{{PAGENAME}}/등장인물}}
{{안내|다음은 본 작품의 주인공인 에치젠 료마와 주변 인물들의 일람입니다.}}
{{안내|다음은 본 작품의 주인공인 에치젠 료마와 주변 인물들의 일람입니다.}}
{{안내|'''이름'''은 일본어판 / SBS 더빙판 순으로 수록하며, '''성우'''는 일본어판 / SBS 더빙판 / 투니버스 더빙판 순으로 수록합니다.}}
{{안내|'''이름'''은 일본어판 / SBS 더빙판 순으로 수록하며, '''성우'''는 일본어판 / SBS 더빙판 / 투니버스 더빙판 순으로 수록합니다.}}
852번째 줄: 845번째 줄:


====VOMIC====
====VOMIC====
2011년 8월 5일~8월 26일에 걸쳐 공개된 <방과후의 왕자님>의 보이스 드라마 시리즈로 현재까지 총 4화가 공개되었다. 성우진은 <테니스의 왕자님> 애니메이션 성우진과 동일하다.
2011년 8월 5일~8월 26일에 걸쳐 공개된 본작의 보이스 드라마 시리즈로 현재까지 총 4화가 공개되었다. 성우진은 애니메이션 성우진과 동일하다.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참조|/애니메이션}}
{{참조|{{PAGENAME}}/애니메이션}}
[[코노미 타케시]]의 코믹스 <테니스의 왕자님>을 영상화한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2001년 10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방영된 <테니스의 왕자님>의 TV 애니메이션, 전국 대회편의 내용을 담고 있는 OVA 시리즈, 3편의 극장판, 그리고 2012년 방영된 <신 테니스의 왕자님>의 TVA가 있다.
[[코노미 타케시]]의 코믹스 <테니스의 왕자님>을 영상화한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2001년 10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방영된 <테니스의 왕자님>의 TV 애니메이션, 전국 대회편의 내용을 담고 있는 OVA 시리즈, 3편의 극장판, 그리고 2012년 방영된 <신 테니스의 왕자님>의 TVA가 있다.


==게임==
==게임==
{{참조|/게임}}
{{참조|{{PAGENAME}}/게임}}
2002년 2월 28일 발매된 콘솔 게임 <테니스의 왕자님>을 시작으로 본작 관련으로 20개가 넘는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발매되었다. 또한, 콘솔 게임 외에도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관련 카드가 여러번 발매되었다.
2002년 2월 28일 발매된 콘솔 게임 <테니스의 왕자님>을 시작으로 본작 관련으로 20개가 넘는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발매되었다. 또한, 콘솔 게임 외에도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관련 카드가 여러번 발매되었다.


918번째 줄: 911번째 줄:
  |방송종료/월 =  
  |방송종료/월 =  
  |방송종료/일 =  
  |방송종료/일 =  
  |방송국 = 문화방송, Just Click
  |방송국 = 문화방송
|방송사이트 = Just Click
  |방송시각 = 매주 목요일 → 매주 일요일 23:00~23:30 (문화방송) <br /> 매주 화요일 13:00부터 24시간동안 한정 전달 (Just Click)
  |방송시각 = 매주 목요일 → 매주 일요일 23:00~23:30 (문화방송) <br /> 매주 화요일 13:00부터 24시간동안 한정 전달 (Just Click)
  |방송횟수 =  
  |방송횟수 =  
925번째 줄: 919번째 줄:
<!-- 출연 & 제작진 -->
<!-- 출연 & 제작진 -->
  |퍼스널리티 = 매달 교체
  |퍼스널리티 = 매달 교체
|어시스턴트 =
  |감독 =  
  |감독 =  
  |구성 =  
  |구성 =  
1,425번째 줄: 1,420번째 줄:


==뮤지컬==
==뮤지컬==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ミュージカル『テニスの王子様』) 은 코노미 타케시의 만화 <테니스의 왕자님>을 무대화한 뮤지컬 작품이다. 약칭 테니뮤 (テニミュ). 2003년부터 2010년까지 1st 시즌의 공연이 있었고, 2010년 8월부터 2nd 시즌의 공연을 열고 있다. 만화 작품의 무대화는 테니뮤의 시작 당시에는 아직 생소한 장르여서, 처음 공연들은 관객 수가 적었지만 점점 인지도가 높아져 추가 공연을 열게 되었고 또한 원작의 스토리를 따라가며 계속 새로운 공연을 열게 되었다. 현재까지 150명이 넘는 배우가 출연, 총 690번이 넘는 공연이 열렸으며<ref name="테니뮤란?">[http://www.tennimu.com/about/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공식 홈페이지 '테니뮤란?']</ref> 결국 초연부터 지금까지 100만명 이상의 누계 관객을 동원한<ref name="테니뮤란?" /> 인기 작품이 되었다. 그 인기는 일본 뿐만이 아니라 주변 아시아 국가에도 퍼져, 2008년 10월에는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The Imperial Presence 효테이 feat. 히가' 공연이 한국의 COEX에서 열리기도 하였으며, 대만에서도 본 뮤지컬의 공연이 여러번 열렸다.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ミュージカル『テニスの王子様』) 은 코노미 타케시의 만화 <테니스의 왕자님>을 무대화한 뮤지컬 작품이다. 약칭 테니뮤 (テニミュ). 2003년부터 2010년까지 1st 시즌의 공연이 있었고, 2010년 8월부터 2nd 시즌의 공연을 열고 있다. 만화 작품의 무대화는 테니뮤의 시작 당시에는 아직 생소한 장르여서, 처음 공연들은 관객 수가 적었지만 점점 인지도가 높아져 추가 공연을 열게 되었고 또한 원작의 스토리를 따라가며 계속 새로운 공연을 열게 되었다. 현재까지 150명이 넘는 배우가 출연, 총 690번이 넘는 공연이 열렸으며<ref name="테니뮤란?">[http://www.tennimu.com/about/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공식 홈페이지 '테니뮤란?']</ref> 결국 초연부터 지금까지 100만명 이상의 누계 관객을 동원한<ref name="테니뮤란?" /> 인기 작품이 되었다. 그 인기는 일본 뿐만이 아니라 주변 아시아 국가에도 퍼져, 2008년 10월에는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The Imperial Presence 효테이 feat. 히가' 공연이 한국의 COEX에서 열리기도 하였으며, 대만에서도 본 뮤지컬의 여러번 공연이 열렸다.


본 뮤지컬의 연출과 안무는 우에시마 유키오와 모토야마 신노스케가 담당했다.<ref>우에시마 유키오는 본 뮤지컬 시리즈에서 에치젠 난지로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ref>  
본 뮤지컬의 연출과 안무는 우에시마 유키오와 모토야마 신노스케가 담당했다.<ref>우에시마 유키오는 본 뮤지컬 시리즈에서 에치젠 난지로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ref>  
1,467번째 줄: 1,462번째 줄: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콘서트 SEIGAKU Farewell Party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콘서트 SEIGAKU Farewell Party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10주년 기념 콘서트 Dream Live 2013
*뮤지컬 테니스의 왕자님 10주년 기념 콘서트 Dream Live 2013
===디스코그라피===
===디스코그라피===
{{참조
{{하위 문서
  |문서1 = /디스코그라피#뮤지컬 음반 |설명1 = 테니뮤의 음반
  |디스코그라피#뮤지컬 음반|변수1=테니뮤의 음반
  |문서2 = /디스코그라피#뮤지컬 DVD |설명2 = 테니뮤의 DVD
  |디스코그라피#뮤지컬 DVD|변수2=테니뮤의 DVD
}}
}}


1,477번째 줄: 1,471번째 줄:
*'''실사 영화 테니스의 왕자님'''
*'''실사 영화 테니스의 왕자님'''
**2006년 5월 13일에 일본에서 개봉한 본작의 실사 영화로, 테니스의 왕자님 실사제작위원회 (주식회사 쇼치쿠・마벨러스 엔터테인먼트 등) 에 의해 제작된 작품이다. 감독은 아베 유이치.  
**2006년 5월 13일에 일본에서 개봉한 본작의 실사 영화로, 테니스의 왕자님 실사제작위원회 (주식회사 쇼치쿠・마벨러스 엔터테인먼트 등) 에 의해 제작된 작품이다. 감독은 아베 유이치.  
**에치젠 료마 역으로 [[혼고 카나타]], 테즈카 역으로 시로타 유, 오오이시 역으로 스즈키 히로키, 후지 역으로 [[아이바 히로키]], 키쿠마루 역으로 아다치 오사무, 이누이 역으로 [[아라키 히로후미]], 카와무라 역으로 코타니 요시카즈, 모모시로 역으로 카지 마사키, 카이도 역으로 [[쿠지라이 코우스케]]가 출연했다. 그 외 사나다 역으로 [[모리야마 에이지]], 야나기 역으로 [[미야노 마모루]] 등이 출연했다. 세이슌은 료마를 제외한 전원이 뮤지컬의 캐스트들이 그대로 출연했다.
**에치젠 료마 역으로 [[혼고 카나타]], 테즈카 역으로 시로타 유, 오오이시 역으로 스즈키 히로키, 후지 역으로 [[아이바 히로키]], 키쿠마루 역으로 아다치 오사무, 이누이 역으로 [[아라키 히로후미]], 카와무라 역으로 코타니 요시카즈, 모모시로 역으로 카지 마사키, 카이도 역으로 [[쿠지라이 코우스케]]가 출연했다. 그 외 사나다 역으로 [[모리야마 에이지]], 야나기 역으로 [[미야노 마모루]] 등이 출연했다.
*'''실사 드라마 테니스의 왕자님'''
*'''실사 드라마 테니스의 왕자님'''
**2008년 7월 25일부터 중국에서 정구왕자(網球王子)라는 타이틀로 방영한 본작의 실사 드라마로, 전 22화 완결. 2009년 8월부턴 속편인 加油!网球王子를 방영했다.
**2008년 7월 25일부터 중국에서 정구왕자(網球王子)라는 타이틀로 방영한 본작의 실사 드라마로, 전 22화 완결. 2009년 8월부턴 속편인 加油!网球王子를 방영했다.


==디스코그라피==
==디스코그라피==
{{참조|/디스코그라피}}
{{참조|{{PAGENAME}}/디스코그라피}}
{{참조|/성우 유닛}}
{{참조|{{PAGENAME}}/성우 유닛}}


==관련 이벤트==
==관련 이벤트==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