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프트웨어 정보
|로고 = [[파일:Python logo and wordmark.svg]]
|원작자 = 귀도 판 로섬
|개발자 = 파이썬 소프트웨어 재단 (PSF)
|라이선스 = [https://docs.python.org/3/license.html#psf-license PSF 라이선스]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https://www.python.org}}
}}
== 개요 ==
[[네덜란드]] 출신 프로그래머인 귀도 판 로섬이 만들어 낸 [[프로그래밍 언어]]. 1989년 크리스마스 때 연구실은 문이 닫혀 있고, 뭔가 몰두할 만한 "취미" 프로그래밍 프로젝트가 있었으면 해서 시작한 게 파이썬이 되었다고 한다. <del>심심해서 만들었는데 세상을 뒤흔들었다는 말을 우리는 믿어야 한다. 하긴 뭐 [[리눅스]]도 시작은 재미로 한 거라...</del> 다만, 그냥 뜬금 없이 심심해서 만든 것은 아니다. 파이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언어로 ABC가 손꼽히는데, 로섬은 몇 년 동안 이 언어의 개발에 참여한 바가 있다. 1987년에 첫 버전이 나왔지만 이렇다 할 호응을 얻지 못하고 1990년을 끝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는데, 여기서 얻은 경험이 파이썬 언어를 만드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ref>[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1609220001 "IT열쇳말 : 파이썬"], Bloter, 2016년 9월 22일.</ref>
[[네덜란드]] 출신 프로그래머인 귀도 판 로섬이 만들어 낸 [[프로그래밍 언어]]. 1989년 크리스마스 때 연구실은 문이 닫혀 있고, 뭔가 몰두할 만한 "취미" 프로그래밍 프로젝트가 있었으면 해서 시작한 게 파이썬이 되었다고 한다. <del>심심해서 만들었는데 세상을 뒤흔들었다는 말을 우리는 믿어야 한다. 하긴 뭐 [[리눅스]]도 시작은 재미로 한 거라...</del> 다만, 그냥 뜬금 없이 심심해서 만든 것은 아니다. 파이썬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언어로 ABC가 손꼽히는데, 로섬은 몇 년 동안 이 언어의 개발에 참여한 바가 있다. 1987년에 첫 버전이 나왔지만 이렇다 할 호응을 얻지 못하고 1990년을 끝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는데, 여기서 얻은 경험이 파이썬 언어를 만드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ref>[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1609220001 "IT열쇳말 : 파이썬"], Bloter, 2016년 9월 22일.</ref>


16번째 줄: 7번째 줄:
파이썬이라는 이름은 귀도 판 로썸이 좋아하는 [[영국]]의 코미디 팀인 몬티 파이선(Monty Python)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인지 파이썬을 다룬 책이나 문서에는 변수나 함수 이름으로 [[달걀|egg]], [[스팸|spam]], [[베이컨|bacon]] 같은 이름이 많이 나온다. 왜 그런지는 [[스팸 (광고)]] 문서 참조.
파이썬이라는 이름은 귀도 판 로썸이 좋아하는 [[영국]]의 코미디 팀인 몬티 파이선(Monty Python)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인지 파이썬을 다룬 책이나 문서에는 변수나 함수 이름으로 [[달걀|egg]], [[스팸|spam]], [[베이컨|bacon]] 같은 이름이 많이 나온다. 왜 그런지는 [[스팸 (광고)]] 문서 참조.


우리나라에서는 웹 서버 사이드 프로그래밍 쪽으로는 인기가 그리 높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다. [[구글]]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일 정도로 인정 받고 있으며 파이썬으로 돌리고 있는 웹 서비스들도 있고, 파이썬 [[Django]]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된 인스타그램은 가장 손꼽히는 활용 사례다.<ref>단, ORM을 비롯한 여러 부분을 마개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드롭박스는 일단 귀도 판 로섬이 근무했던 곳이기도 해서 파이썬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도 링크드인, 핀터레스트와 같은 대규모 웹 서비스들이 파이썬을 주축으로 혹은 일부 사용하고 있어서 대형 서비스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파이썬은 [[Django]] [[프레임워크]]가 압도적으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고 좀 더 경량인 Flask도 상당한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API 서버 기능에 주안점을 둔 웹 [[프레임워크]]인 FastAPI가 '느리다'는 파이썬의 이미지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쪽은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API 기능에 특화된 것이라 범용성 면에서는 아직 장고나 플라스크에 많이 밀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웹 서버 사이드 프로그래밍 쪽으로는 인기가 그리 높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다. [[구글]]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일 정도로 인정 받고 있으며 파이썬으로 돌리고 있는 웹 서비스들도 있고, 파이썬 장고 웹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된 인스타그램은 가장 손꼽히는 활용 사례다. 드롭박스는 일단 귀도 판 로섬이 근무했던 곳이기도 해서 파이썬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도 링크드인, 핀터레스트와 같은 대규모 웹 서비스들이 파이썬을 주축으로 혹은 일부 사용하고 있어서 대형 서비스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웹 프레임워크가 난립해 있는 다른 언어들과는 달리 파이썬은 장고 프레임워크가 압도적으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고 좀 더 경량인 플라스크도 어느 정도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API 서버 기능에 주안점을 둔 웹 프레임워크인 FastAPI가 '느리다'는 파이썬의 이미지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징==
==특징==


기초 수준 영어에 친숙하다면 상당히 직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당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괄호나 중괄호를 비롯해서 이런저런 기호를 많이 쓰는 편인데 반해 파이썬은 영어와 비슷하게 보이는 자연어를 많이 활용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서 [[C++]]로 1부터 100까지 더한다고 가정해 보면,
기초 수준 영어에 친숙하다면 상당히 직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당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괄호나 중괄호를 비롯해서 이런저런 기호를 많이 쓰는 편인데 반해 파이썬은 자연어를 많이 활용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서 [[C++]]로 1부터 100까지 더한다고 가정해 보면,


<syntaxhighlight lang="c++">
<syntaxhighlight lang="c++">
53번째 줄: 44번째 줄:
코드의 실행 블록 범위를 정할 때 [[C]]나 [[자바]]를 비롯한 많은 언어들은 중괄호를 사용하거나, [[파스칼]]처럼 endif와 같은 키워드를 사용해서 블록의 끝을 표시하는 것과는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블록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대부분 언어들은 들여쓰기를 시각적으로 블록을 구분하기 편하기 위해 쓰지만 파이썬은 의무이며 그렇지 않으면 오류를 일으킨다. 대신 중괄호나 endif를 사용하지 않으로 코드의 길이가 그만큼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코드의 실행 블록 범위를 정할 때 [[C]]나 [[자바]]를 비롯한 많은 언어들은 중괄호를 사용하거나, [[파스칼]]처럼 endif와 같은 키워드를 사용해서 블록의 끝을 표시하는 것과는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블록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대부분 언어들은 들여쓰기를 시각적으로 블록을 구분하기 편하기 위해 쓰지만 파이썬은 의무이며 그렇지 않으면 오류를 일으킨다. 대신 중괄호나 endif를 사용하지 않으로 코드의 길이가 그만큼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들여쓰기를 할 때에는 탭을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하며 보통 블록 1 단계 당 빈칸 2개 또는 4개를 사용하지만<ref>요즈즘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탭보다는 빈칸을 권장한다. 탭은 플랫폼이나 편집기의 설정에 따라 들여쓰기 칸수가 달라질 수 있지만 빈칸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 그런데 [[Go 언어]]는 2012년에 나온 언어인데도 옛날 언어처럼 탭을 권장한다. 하긴 [[Go 언어]]는 이런저런 면에서 상당히 올드한 면을 가지고 있긴 하다.</ref> 파이썬의 코드 스타일 가이드라인인 PEP-8에서는 빈칸 4개를 권장한다. 파이썬을 인식하는 코드 편집기는 이런 규칙을 알고 있기 때문에 탭을 눌러도 자동으로 스페이스로 전환해 준다. 블록을 이끄는 줄, 즉 루프 문이나 함수/클래스 정의문의 끝에는 쌍점(:)을 붙여서 블록이 시작한다는 것을 알린다. 파이썬을 인식하는 코드 편집기는 이러한 쌍점이 나온 다음 줄바꿈을 하면 자동으로 들여쓰기를 해 준다.
들여쓰기를 할 때에는 탭을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하며 보통 블록 1 단계 당 빈칸 2개 또는 4개를 사용하지만 파이썬의 코드 스타일 가이드라인인 PEP8에서는 빈칸 4개를 권장한다. 파이썬을 인식하는 코드 편집기는 이런 규칙을 알고 있기 때문에 탭을 눌러도 자동으로 스페이스로 전환해 준다. 블록을 이끄는 줄, 즉 루프 문이나 함수/클래스 정의문의 끝에는 쌍점(:)을 붙여서 블록이 시작한다는 것을 알린다. 파이썬을 인식하는 코드 편집기는 이러한 쌍점이 나온 다음 줄바꿈을 하면 자동으로 들여쓰기를 해 준다.


===함수===
===함수===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