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시미 츠카사 편집하기

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라이트 노벨 작가 ==
{{정보상자/인물
{{정보상자/인물
|성별 = 남
  |이름 = 후시미 츠카사
  |이름 = 후시미 츠카사
  |이름/일어 = 伏見 つかさ
  |이름/일어 = 伏見 つかさ
7번째 줄: 5번째 줄:
  |직업 = 라이트 노벨 작가
  |직업 = 라이트 노벨 작가
  |소속사 =  
  |소속사 =  
  |활동시작 = 2006년
  |활동시작 = 2006년
  |활동종료 =  
  |활동종료 =  
  |데뷔작품 = 13번째의 앨리스 (라이트 노벨)
  |데뷔작품 = 13번째의 앨리스 (라이트 노벨)
  |출생년 = 1981
  |출생년 = 1981
  |출생월 =  
  |출생월 =  
  |출생일 =  
  |출생일 =  
  |출생국가 = 일본
  |출생국가 = 일본
  |출생지1 =  
  |출생지1 =  
  |출생지2 =  
  |출생지2 =  
  |혈액형 =  
  |혈액형 =  
  |별명 =  
  |별명 =  
  |공식사이트 =  
  |공식사이트 =  
  |블로그 = http://fusi.blog10.fc2.com/
  |블로그 = http://fusi.blog10.fc2.com/
|트위터 =
}}
}}
'''후시미 츠카사'''{{원|伏見 つかさ, 2006년 ?월 ?일 ~ }}는 라이트 노벨 작가로, 2006년에 제12회 전격 소설대상에 <13번째의 앨리스>로 참가해 작가로 처음 데뷔했다. <네코시스>라는 작품을 기획했지만, 사정상 일시 동결되고 이 작품의 설정을 계승한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이하 '내 여동생')를 2008년에 발표한다.
== 작가 ==
'''후시미 츠카사'''(伏見 つかさ, 2006년 ?월 ?일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이다. 1981년생이며, 2006년에 제12회 전격 소설대상에 <13번째의 앨리스>로 참가해 작가로 처음 데뷔했다. <네코시스>라는 작품을 기획했지만, 사정상 일시 동결되고 이 작품의 설정을 계승한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이하 '내 여동생')를 2008년에 발표한다.


== 작품 ==
<내 여동생>이 2010년에 TV 애니메이션화되었을 때는 시나리오를 감수하며 9화의 각본을 직접 썼고,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2011)과 그 속편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2012)에도 상당 부분의 신작 시나리오를 직접 썼다.<ref>게임 제작진에 의하면, 이렇게까지 미디어 믹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원작가는 드물다고 한다. (주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 특집 기사 제10회)</ref>
데뷔작 <13번째의 앨리스>에 대해서 담당 편집자인 미키 카즈마는 소녀들의 전투를 소재로 했지만, 일상과 코미디 파트<ref>[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1.html 2008년 하반기 라이트 노벨계의 화제작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선생님 인터뷰 (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23일.</ref>, 그리고 남자 캐릭터들 사이의 대화가 재미있다<ref>[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86986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4)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 Blog, 2009년 8월 7일.</ref>고 평가하며 "후시미는 뒷설정 등은 최소한만 사용하고, 편집자의 질문이나 독자의 반응을 반영시키면서 부록으로 설정을 만드는 듯한 작풍이 특징인 작가"라고 말했다.<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6699939673411584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감상이라 죄송하지만, 작가님의..."], 미키 카즈마 트위터, 2010년 11월 22일.</ref><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6700031935512576 전자는, 타카하시 씨의 <샤나>나 카와하라 씨의 <SAO>..."], 미키 카즈마 트위터, 2010년 11월 22일.</ref>
 
== 작풍 ==
데뷔작 <13번째의 앨리스>에 대해서 담당 편집자인 [[미키 카즈마]]는 소녀들의 전투를 소재로 했지만, 일상과 코미디 파트<ref>[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1.html 2008년 하반기 라이트 노벨계의 화제작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선생님 인터뷰 (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23일.</ref>, 그리고 남자 캐릭터들 사이의 대화가 재미있다<ref>[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86986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4)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 Blog, 2009년 8월 7일.</ref>고 평가하며 "후시미는 뒷설정 등은 최소한만 사용하고, 편집자의 질문이나 독자의 반응을 반영시키면서 부록으로 설정을 만드는 듯한 작풍이 특징인 작가"라고 말했다.<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6699939673411584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감상이라 죄송하지만, 작가님의..."], 미키 카즈마 트위터, 2010년 11월 22일.</ref><ref>[http://twitter.com/dengeki_miki/status/6700031935512576 전자는, 타카하시 씨의 <샤나>나 카와하라 씨의 <SAO>..."], 미키 카즈마 트위터, 2010년 11월 22일.</ref>


키가 큰 여캐릭터가 좋다고 하며<ref name="CloseUp 081017">[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8.html 2008년 하반기 라이트 노벨계의 화제작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선생님 인터뷰 (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17일.</ref><ref name="gigazine 100505">[http://gigazine.net/index.php?/news/comments/20100505_machiasobi3_fusimi_talk/ '내 재능을 경배해라!' 애니화 결정된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의 후시미 츠카사 토크쇼에서 나온 제작비화], GIGAZINE, 2010년 5월 5일.</ref>, 자신이 쓴 작품에 등장하는 히로인들이 키가 큰 것도 그런 이유에서라고 한다.<ref name="CloseUp 081017" /> "내 여동생"에서는 키가 180cm나 되는 여중생 [[사오리 버지나]]를 좋아하는 캐릭터로 꼽았는데<ref name="gigazine 100505" /><ref name="아키바 Blog 101110">[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109312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7)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아키바 Blog, 2010년 11월 10일.</ref>, 자신의 호오에 따라 등장인물을 편애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ref name="아키바 Blog 101110" />
키가 큰 여캐릭터가 좋다고 하며<ref name="CloseUp 081017">[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8.html 2008년 하반기 라이트 노벨계의 화제작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선생님 인터뷰 (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17일.</ref><ref name="gigazine 100505">[http://gigazine.net/index.php?/news/comments/20100505_machiasobi3_fusimi_talk/ '내 재능을 경배해라!' 애니화 결정된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의 후시미 츠카사 토크쇼에서 나온 제작비화], GIGAZINE, 2010년 5월 5일.</ref>, 자신이 쓴 작품에 등장하는 히로인들이 키가 큰 것도 그런 이유에서라고 한다.<ref name="CloseUp 081017" /> "내 여동생"에서는 키가 180cm나 되는 여중생 [[사오리 버지나]]를 좋아하는 캐릭터로 꼽았는데<ref name="gigazine 100505" /><ref name="아키바 Blog 101110">[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109312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7)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아키바 Blog, 2010년 11월 10일.</ref>, 자신의 호오에 따라 등장인물을 편애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ref name="아키바 Blog 101110" />
32번째 줄: 32번째 줄:


== 집필한 작품 ==
== 집필한 작품 ==
=== 라이트 노벨 ===
; 전격 문고 (아스키 미디어 웍스 출판)
* 네코시스 ([[칸자키 히로]] 일러스트, 총 1권, [[전격 문고]] (아스키 미디어 웍스) 출판, 2009년 10월 10일 발행)
* 13번째의 앨리스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칸자키 히로]] 일러스트, 총 12권, [[전격 문고]] (아스키 미디어 웍스) 출판, 2008년 8월 10일 ~ 2013년 6월 7일 발행)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 13번째 앨리스 {{덧|데뷔작}} (시코르스키 일러스트, 총 4권, [[전격 문고]] (아스키 미디어 웍스) 출판, 2006년 8월 10일 ~ 2007년 8월 10일 발행)
* 네코시스
* 명탐정 실격인 그녀 (하스미 에란 일러스트, 총 1권, VA 문고 (비주얼 아츠/패러다임) 출판, 2009년 10월 31일 발행)
* [[에로망가 선생]] ([[칸자키 히로]] 일러스트, [[전격 문고]] (아스키 미디어 웍스) 출판,  2013년 12월 10일 발행 ~)
 
=== 앤솔로지 ===
* School Heart's 달과 불꽃과 약속과 (합동 앤솔로지, [[칸자키 히로]]와 참여, 이치진샤 문고 (이치진샤) 출판, 2008년 8월 20일 발행)
* 중2병으로 GO!! (합동 앤솔로지, [[칸자키 히로]]와 참여, 간간 노벨즈 (스퀘어 에닉스) 출판, 2009년 11월 21일 발행)


== 작품 '내 여동생'과 후시미 작가 ==
; VA 문고 (비주얼 아츠/패러다임 출판)
[[파일:라이트 노벨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png|thumb|200px|후시미의 라노베 작품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1권]]
* 명탐정 실격인 그녀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문서의 '내력' 단락에서 가져옴 (문장 약간 변경됨) -->
후시미의 히트작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는, 편집 담당자 미키 카즈마가 후시미의 작풍을 고려해 '초능력 없는 평범한 일상', '패기있는 소녀', '오타쿠'라는 테마를 추천했고, 또 이 작품에 대한 출판사의 기대가 낮았기 때문에 캐릭터 설정을 강조한 마케팅 전략을 세웠다.<ref name="closeup081023">[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1.html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23일.</ref><ref name="아키바081205">[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769260.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2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8년 12월 5일.</ref><ref name="아키바Blog090807">[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86986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제4권 발매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아키바Blog, 2009년 8월 7일.</ref><ref name="라노베후기2">라노베 제2권 후기. 371~372쪽</ref> 작가 후시미에게는 장편 코미디에의 첫 도전이었으며,<ref>라노베 제1권 후기. 270~271쪽</ref> 작풍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독자도 의외로 많았다고 한다.<ref name="closeup081017">[http://closeup-nettube.livedoor.biz/archives/581598.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전편-], CloseUp NetTube, 2008년 10월 17일.</ref>


후시미 본인에게 있어 <내 여동생>은 일발 흥행을 노린 작품이 아니라, 작가 인생에서 마지막으로 간행하는 작품이 될 각오로 썼다고 한다.<ref name="closeup081023" /><ref>라노베 제3권의 뒷면 커버 소매.</ref> 사실 발행 전까지 <내 여동생> 기획은 [[전격 문고]]에서 그리 대우받지 못했지만, 발행된 후에는 메인 히로인 [[코우사카 키리노]]가 오타쿠 취미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곳이 실제 개인 뉴스 사이트라는 설정이 화제가 되면서 인터넷에서 큰 반향을 불렀다.<ref name="closeup081017" /><ref name="closeup081023" /><ref name="아키바081205" /><ref name="애니화통지">[http://asciimw.jp/info/release/pdf/20100513.pdf 전격 문고 대인기 시리즈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애니메이션화 결정 통지(pdf)], 아스키 미디어 웍스, 2010년 5월 13일.</ref>
; 간간 노벨즈 (스퀘어 에닉스 출판)
* 중2병으로 GO!!


작가의 <내 여동생> 작품에 대한 적극적인 면모는 다른 부분에서도 드러난다. 이 작품이 TV 애니메이션화되었을 때는 시나리오 감수를 맡았을 뿐 아니라 9화의 각본을 직접 썼고, 게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과 그 속편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에도 상당 부분의 신작 시나리오를 직접 썼다.게임 제작진에 의하면, 이렇게까지 미디어 믹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원작가는 드물다고 한다.<ref>주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 특집 기사 제10회)</ref>
; 이치진샤 문고 (이치진샤 출판)
* School Heart's 달과 불꽃과 약속과


한편, <내 여동생>남매 사이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인 데다 주인공 [[코우사카 쿄스케]]가 여동생 [[코우사카 키리노|키리노]]를 대하는 어려움에 대해 독자에게 동의를 구하는 대사가 자주 나오지만, 후시미 작가에게 실제로 여동생은 없으며 이런 내용은 상상해서 집필하고 있다고 한다.<ref>[http://news.dengeki.com/elem/000/000/260/260562/ 토쿠시마에서 열린 "내 여동생" 토크 이벤트 영상을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 전격 온라인, 2010년 5월 10일.</ref>
== 작품 '내 여동생'과 후시미 작가 ==
후시미의 히트작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남매 사이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이며 주인공 [[코우사카 쿄스케]]가 여동생 [[코우사카 키리노|키리노]]를 대하는 어려움에 대해 독자에게 동의를 구하는 대사가 자주 나오지만, 후시미 작가에게 실제로 여동생은 없으며 이런 내용은 상상해서 집필하고 있다고 한다.<ref>[http://news.dengeki.com/elem/000/000/260/260562/ 토쿠시마에서 열린 "내 여동생" 토크 이벤트 영상을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 전격 온라인, 2010년 5월 10일.</ref>


후시미 작가는 이 작품을 처음 쓰던 당시 메인 히로인인 [[코우사카 키리노|키리노]]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이야기를 진행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등장인물'이라고 밝히며 '라노베 제5권에서 막상 유학을 떠나니 섭섭했다', '미국에서 돌아왔을 땐 자신도 감동했다'고 말했다.<ref>[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964732.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후편)], 아키바 Blog, 2010년 5월 7일.</ref> 원작이 완결될 즈음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가 '10권 이후의 키리노'가 되었다고 한다.<ref>[http://dengekionline.com/elem/000/000/468/468878/ 내 여동생 P 속편 - 후시미 츠카사 선생님, 후타미 요스케 P, 미키 카즈마 부편집장 좌담회 클라이맥스! 카나코의 플레이 무비도 공개!!], 주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포터블이 계속될 리가 없어 특집 기사 10회, 2012년 3월 16일.</ref>
후시미 작가는 이 작품을 처음 쓰던 당시 메인 히로인인 [[코우사카 키리노|키리노]]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이야기를 진행하는 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등장인물'이라고 밝히며 '라노베 제5권에서 막상 유학을 떠나니 섭섭했다', '미국에서 돌아왔을 땐 자신도 감동했다'고 말했다.<ref>[http://blog.livedoor.jp/geek/archives/50964732.html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5) 발매 기념 후시미 츠카사 인터뷰 (후편)], 아키바 Blog, 2010년 5월 7일.</ref>


== 주석 ==
== 주석 ==
60번째 줄: 55번째 줄: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언어|}} [http://fusi.blog10.fc2.com/ 후시미 츠카사 공식 블로그]
*{{언어|ja}} [http://fusi.blog10.fc2.com/ 후시미 츠카사 공식 블로그]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