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개요 == HTTP 리디렉션 상태 코드는 3xx 번대의 상태 코드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에 있음을 알리거나, 추가 작업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리디렉션은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다른 위치로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메커니즘으로, URL 변경, 로드 밸런싱, 캐싱 최적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주요 리디렉션 상태 코드 == 각 상태 코드 별 자세한 내용은 [[HTTP 상태 코드]] 문서를 확인하세요! === 300 Multiple Choices === * '''의미''': 요청한 리소스에 대해 여러 가지 옵션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동일한 문서가 여러 형식(HTML, PDF, TXT 등)으로 제공될 때 사용된다. * '''특징''': 사용자 에이전트(브라우저)가 가장 적절한 옵션을 선택하거나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 301 Moved Permanently === * '''의미''':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URL로 이동되었음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 웹사이트 도메인 변경 ** URL 구조 개편 ** HTTP에서 HTTPS로의 영구 전환 * '''특징''': ** 검색 엔진은 이전 URL의 페이지 랭크를 새 URL로 이전한다. **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캐시할 수 있다. === 302 Found (Previously "Moved Temporarily") === * '''의미''':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L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 A/B 테스팅 ** 사용자 위치 기반 리디렉션 ** 임시 유지보수 페이지로의 전환 * '''특징''': ** 원본 URL의 SEO 가치가 유지된다. ** 브라우저는 캐시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 303 See Other === * '''의미''': 요청한 리소스를 다른 URL에서 GET 메서드로 가져와야 함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 POST 요청 후 결과 페이지로의 리디렉션 ** 업로드 완료 후 확인 페이지로의 이동 * '''특징''': POST, PUT, DELETE 요청 후 GET 요청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 304 Not Modified === * '''의미''': 마지막 요청 이후 리소스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 브라우저 캐시 유효성 검증 ** 조건부 GET 요청에 대한 응답 * '''특징''': **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 응답 본문을 포함하지 않는다. === 307 Temporary Redirect === * '''의미''': 302와 유사하나, HTTP 메서드를 변경하지 않고 리디렉션해야 함을 명시한다. * '''사용 예시''': ** POST 요청의 임시 리디렉션 ** 메서드 보존이 중요한 API 리디렉션 * '''특징''': 원본 요청의 HTTP 메서드와 본문을 유지한다. === 308 Permanent Redirect === * '''의미''': 301과 유사하나, HTTP 메서드를 변경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리디렉션함을 나타낸다. * '''사용 예시''': ** API 엔드포인트의 영구 이전 ** 메서드 보존이 필요한 리소스의 영구 이동 * '''특징''': 원본 요청의 HTTP 메서드와 본문을 유지하며 영구적 이동을 나타낸다. == 리디렉션의 활용 == === 일반적인 사용 사례 === * '''URL 정규화''': 여러 URL이 동일한 리소스를 가리킬 때 표준 형식으로 리디렉션 * '''도메인 통합''': 여러 도메인을 하나의 주 도메인으로 통합 * '''SSL/TLS 전환''': HTTP에서 HTTPS로의 자동 전환 * '''유지보수''': 시스템 점검 중 임시 페이지로 리디렉션 * '''로드 밸런싱''': 서버 부하 분산을 위한 동적 리디렉션 * '''A/B 테스팅''': 사용자를 다른 버전의 페이지로 리디렉션 === 구현 방식 === ==== HTTP 헤더 ==== 리디렉션은 주로 'Location' 헤더를 통해 구현된다: <pre> HTTP/1.1 301 Moved Permanently Location: https://example.com/new-url </pre> ==== HTML 메타 리디렉션 ==== 클라이언트 측에서도 리디렉션을 구현할 수 있다: <pre>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url=https://example.com/new-url"> </pre> == 주의사항 == === 성능 고려사항 === * '''리디렉션 체인''': 여러 번의 연속적인 리디렉션은 지연을 발생시킨다. * '''캐시 전략''': 적절한 캐시 헤더를 설정하여 불필요한 리디렉션을 방지해야 한다. * '''타임아웃''': 리디렉션 처리 시 적절한 타임아웃을 설정해야 한다. === SEO 영향 === * '''검색 엔진 최적화''': 영구 리디렉션(301)은 페이지 랭크를 전달한다. * '''크롤링 효율''': 불필요한 리디렉션은 검색 엔진 크롤링 효율을 저하시킨다. * '''URL 구조''': 명확한 리디렉션 구조는 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분류 --> [[분류:HTTP]] [[분류:웹 개발]] [[분류:네트워크 프로토콜]] [[분류:웹 서버]] [[분류:컴퓨터 네트워크]] 편집 요약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