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오타를 고침)
(오타를 고침)
1번째 줄: 1번째 줄:
== 설명 ==
코로나바이러스는 [[니도바이러스목]], 코로나바이러스과, 코로나바이러스아과 혹은 Torovirinae에 포함된 [[바이러스|바이러스속]]인 종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짧은 간섭 RNA|ssRNA]]와 [[나선형]] [[대칭|대칭형]] [[뉴클레오시드|뉴클레오펩시드]]로 감싸진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크기는 거의 26에서 32 킬로베이스로 [[RNA 바이러스|RNA바이러스]] 중 가장 크다.<ref>{{웹 인용 |url=http://scienceon.hani.co.kr |제목=사이언스온 - '사우디의 2014 메르스|성=오|이름=철우|날짜=2015년 6월 4일|웹사이트=사이언스 온|출판사=|확인날짜=2016-04-09}}</ref>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름은 [[왕관]]이나 [[광륜]]을 뜻하는 라틴어 [[코로나]]에서 유래되었고 [[전자 현미경|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많은 부분의 가장자리가 [[왕]]의 왕관 혹은 [[태양]]의 코로나를 연상시키는 둥글납작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바이론]]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 [[형태학 (생물학)|형태학]]은 바이러스 표면에 살고 [[숙주]]의 향성을 만드는 단백질인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페플로머에 의해 생성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shutterstock.com/pic-173308637/stock-vector-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html|제목=diagram-of-corona-virus-particle-structure|성=shutterstock|이름=|날짜=|웹사이트=shtterstock|출판사=|확인날짜=}}</ref>
코로나바이러스들의 전반적인 구조에 기여하는 단백질들은 스파이크, 껍질, 멤브레인 그리고 뉴클레오켑시드이다. SARS 코로나바이러스라는 특이한 경우에서 스파이크 위에 있는 확정된 결합수용기 도메인은 바이러스의 부착부분을 이것의 세포의 수용기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로 중재한다. 몇몇 코로나바이러스(특히 [[베타코로나바이러스]] 하위집단 구성원)는 또한 [[항체]] 에스테라아제라고 불리는 단백질 같은 짧은 스파이크를 가진다.
== 간 코로나바이러스의 관계 ==
== 간 코로나바이러스의 관계 ==
[[파일:3D medical animation corona virus.jpg|섬네일|200px|코로나바이러스의 3차원 모형]]
[[파일:3D medical animation corona virus.jpg|섬네일|200px|코로나바이러스의 3차원 모형]]

2020년 2월 5일 (수) 21:39 판

간 코로나바이러스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의 3차원 모형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 성인이나 어린이의 일반적 감기 중 상당 부분의 원인이라고 본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주로 겨울과 이른 봄철에 사람에게 열, 인후통 등의 증상을 동반한 감기를 유발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폐렴이나 2차적인 세균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이나 2차적인 세균성 기관지염도 일으킬 수 있다. 2003년에 발견된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를 일으키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로, 상부 및 하부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독특한 병인을 가지고 있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는 7 가지 변종이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HCoV-229E, -NL63, -OC43 및 -HKU1 등은 사람 사이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전세계의 성인과 어린이에게 호흡기 감염을 일으킨다.

각주

각주


틀:Medical resources

틀:생물 분류 식별자 모듈:Authority_control 977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field 'wikibase' (a nil value).

이 문서는 적은 양의 정보를 담은 문서입니다. 여러분의 추가적인 작성 및 교정을 기다립니다.
• 현재 페이지 URL 줄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