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
내용 보강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유닉스, 리눅스에서 명령어의 출력값을 파일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윈도우의 <code>> file.txt</code>와 유사하다. | 유닉스, 리눅스에서 명령어의 출력값을 파일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윈도우의 <code>> file.txt</code>와 유사하다. | ||
명령어 tee<ref>위키의 한계상 문서의 첫글자는 무조건 대문자로 표시되는 것이며, 실제 명령어는 소문자 <code>tee</code>이다.</ref>는 배관에서 다른 배관과 연결하는 T자 스플리터에서 유래했다. | 명령어 tee<ref>위키의 한계상 문서의 첫글자는 무조건 대문자로 표시되는 것이며, 실제 명령어는 소문자 <code>tee</code>이다.</ref>는 배관에서 다른 배관과 연결하는 T자 스플리터에서 유래했다. 주로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여 명령어 출력 결과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파일에 기록할 때 유용하다. | ||
== 윈도우 명령어와의 차이점 == | == 윈도우 명령어와의 차이점 == | ||
윈도우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명령어 결과를 | 윈도우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명령어 결과를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 ||
<syntaxhighlight lang='bat'> | <syntaxhighlight lang='bat'> | ||
C:\Users\admin\Desktop>ping 127.0.0.1 > result.txt | C:\Users\admin\Desktop>ping 127.0.0.1 > result.txt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명령어 실행 결과가 <code>result.txt</code>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중에는 명령어 결과가 프롬프트에 출력되지 않는다. | 명령어 실행 결과가 <code>result.txt</code>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중에는 명령어 결과가 프롬프트에 출력되지 않는다. | ||
이에 반면에 <code>tee</code> 명령어는 명령어 결과가 출력되면서 | 이에 반면에 <code>tee</code> 명령어는 명령어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면서 파일에도 동시에 저장된다. 이러한 차이점은 실시간으로 명령어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서 <code>tee</code>를 유용하게 만들어준다. | ||
== 명령어 사용법 == | == 명령어 사용법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syntaxhighlight> | </syntaxhighlight> | ||
* '''-a 옵션''' - 기존에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어 쓴다. | |||
* '''-i 옵션''' - <code>ctrl+c</code>로 명령어 수행 취소를 할 수 없도록 한다. | |||
=== 예제 === | |||
'''1. 명령어 출력 확인과 저장''' | |||
<syntaxhighlight lang='shell'> | |||
echo "Hello, World!" | tee output.txt | |||
</syntaxhighlight> | |||
위 명령어는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동시에 <code>output.txt</code> 파일에 저장한다. | |||
'''2. 파일에 결과 이어쓰기''' | |||
<syntaxhighlight lang='shell'> | |||
echo "New line" | tee -a output.txt | |||
</syntaxhighlight> | |||
<code>-a</code> 옵션을 사용하면 기존 <code>output.txt</code> 파일에 새로운 줄이 추가된다. | |||
'''3. 명령어 중단 방지''' | |||
<syntaxhighlight lang='shell'> | |||
long_running_command | tee -i output.txt | |||
</syntaxhighlight> | |||
<code>-i</code> 옵션을 사용하면 <code>ctrl+c</code>로 실행을 중단할 수 없게 된다. | |||
== tee 명령어의 활용 == | |||
'''1. 로그 확인 및 저장''' | |||
<syntaxhighlight lang='shell'> | |||
tail -f /var/log/syslog | tee syslog_copy.log | |||
</syntaxhighlight> | |||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같은 내용을 <code>syslog_copy.log</code> 파일에 저장한다. | |||
'''2. 다중 출력 활용''' | |||
<syntaxhighlight lang='shell'> | |||
command | tee >(another_command) | |||
</syntaxhighlight> | |||
명령어 출력을 여러 명령어와 파일에 동시에 전달할 때 사용된다. 이 방식은 고급 스크립트 작성에서 특히 유용하다. | |||
== 관련 명령어 == | |||
* <code>cat</code>: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거나 연결 | |||
* <code>echo</code>: 문자열을 출력 | |||
* <code>tail</code>: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 | |||
<!--분류--> | <!--분류--> | ||
[[분류:유닉스 명령어]] [[분류:리눅스 명령어]] [[분류:명령어 결과 저장]] | [[분류:유닉스 명령어]] [[분류:리눅스 명령어]] [[분류:명령어 결과 저장]] | ||
== 각주 == |
2024년 11월 30일 (토) 17:26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유닉스, 리눅스에서 명령어의 출력값을 파일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윈도우의 > file.txt
와 유사하다.
명령어 tee[1]는 배관에서 다른 배관과 연결하는 T자 스플리터에서 유래했다. 주로 파이프(|)와 함께 사용하여 명령어 출력 결과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파일에 기록할 때 유용하다.
윈도우 명령어와의 차이점[편집 / 원본 편집]
윈도우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명령어 결과를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C:\Users\admin\Desktop>ping 127.0.0.1 > result.txt
C:\Users\admin\Desktop>
명령어 실행 결과가 result.txt
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중에는 명령어 결과가 프롬프트에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반면에 tee
명령어는 명령어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면서 파일에도 동시에 저장된다. 이러한 차이점은 실시간으로 명령어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서 tee
를 유용하게 만들어준다.
명령어 사용법[편집 / 원본 편집]
기존 명령어 | tee [-a 옵션] [-i 옵션] filename
- -a 옵션 - 기존에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어 쓴다.
- -i 옵션 -
ctrl+c
로 명령어 수행 취소를 할 수 없도록 한다.
예제[편집 / 원본 편집]
1. 명령어 출력 확인과 저장
echo "Hello, World!" | tee output.txt
위 명령어는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동시에 output.txt
파일에 저장한다.
2. 파일에 결과 이어쓰기
echo "New line" | tee -a output.txt
-a
옵션을 사용하면 기존 output.txt
파일에 새로운 줄이 추가된다.
3. 명령어 중단 방지
long_running_command | tee -i output.txt
-i
옵션을 사용하면 ctrl+c
로 실행을 중단할 수 없게 된다.
tee 명령어의 활용[편집 / 원본 편집]
1. 로그 확인 및 저장
tail -f /var/log/syslog | tee syslog_copy.log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같은 내용을 syslog_copy.log
파일에 저장한다.
2. 다중 출력 활용
command | tee >(another_command)
명령어 출력을 여러 명령어와 파일에 동시에 전달할 때 사용된다. 이 방식은 고급 스크립트 작성에서 특히 유용하다.
관련 명령어[편집 / 원본 편집]
cat
: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거나 연결echo
: 문자열을 출력tail
: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
각주[편집 / 원본 편집]
- ↑ 위키의 한계상 문서의 첫글자는 무조건 대문자로 표시되는 것이며, 실제 명령어는 소문자
tee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