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종류 == {| style = "border-spacing:1em 1em;" |- | valign="top" | [[파일:Cc-by new.svg|40px|Attribution]] | valign="top" | '''저작자표시'''(Attribution; BY) | valign="top" | 저작물을 사용할 때에 원저작자를 꼭 표기해야 한다. 모든 CC 라이선스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조건이다. |- | valign="top" | [[파일:Cc-nc.svg|40px|Non-commercial]] | valign="top" | '''비영리'''(Noncommercial; NC) | valign="top" |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단, "영리"의 정의가 모호할 수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 | valign="top" | [[파일:Cc-nd.svg|40px|Non-derivative]] | valign="top" | '''변경금지'''(No Derivative Works; ND) | valign="top" | 저작물을 변경할 수 없다. 원본 그대로만 사용해야 한다. |- | valign="top" | [[파일:Cc-sa.svg|40px|Share-alike]] | valign="top" | '''동일조건변경허락'''(Share-alike; SA) | valign="top" | 2차 저작물을 만들 때 그 저작물에도 원저작물과 같은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한다. "바이럴" 성격을 갖는다. |} 위 표에 있는 4가지 조건을 조합하여 라이선스가 정해지며<ref name="cc0">CC0는 제외</ref>, 총 6가지 라이선스와 1가지 퍼블릭 도메인 도구가 존재한다. === 저작자표시(BY) === [[파일:Cc-by new.svg|40px|Attribution]] 해당 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4.0 버전에서는 별도 페이지로의 링크를 통한 저작자 표시도 명시적으로 허용하게 되었다. BY 라이선스는 버전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가장 높은 자유도를 갖는 라이선스이다. '''실제 사용 예시''': 블로그 포스팅, 개인 창작물, 교육 자료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단순히 출처만 명시하면 되므로 상업적 이용도 자유롭게 가능하다. === 저작자표시 + 동일조건변경허락(BY-SA) === [[File:CC BY-SA icon.svg|100px|BY-SA]] 출처 표기뿐만 아니라 동일한 라이선스(BY-SA)를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이다.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는 라이선스이기 때문에 위키백과 기반 위키나 [[리브레위키]] 등에서 사용한다. '''주의사항''': 이 라이선스는 "바이럴" 성격이 있어서, 해당 저작물을 조금이라도 사용하면 전체 작품이 BY-SA로 배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업적 프로젝트에서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BY-ND) === [[File:Cc by-nd icon.svg|100px|BY-ND]] 뉴스 기사, 학술 논문, 공식 발표문과 같이 변경되면 원래 전달하려는 의미가 왜곡될 수 있는 콘텐츠에 주로 사용되는 라이선스다. 출처 표기와 함께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는 조건이 있다. '''위키에서의 기피 이유''': 위키는 집단지성으로 불특정 다수가 지속적으로 수정하는 플랫폼이므로, 변경금지 조건은 위키의 기본 철학과 맞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저작자표시 + 비영리(BY-NC) === [[File:Cc-by-nc icon.svg|100px|BY-NC]] 출처 표기와 비영리 사용만을 허용하는 라이선스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BY-NC-SA)|BY-NC-SA]] 조합으로 사용된다. '''영리/비영리 구분의 모호함''': Creative Commons에서는 영리를 "상업적 이익이나 금전적 보상을 주된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지만, 실제 적용에서는 해석의 여지가 많아 논란이 될 수 있다.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BY-NC-SA) === [[File:Cc-by-nc-sa icon.svg|100px|BY-NC-SA]] 출처 표기, 동일 라이선스 조건과 함께 비영리로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은 라이선스로, 나무위키에서 사용하는 라이선스이기도 하다. 본 위키에서도 사용하는 라이선스다. '''유튜브와의 관계''': 비영리 조건이 붙기 때문에 유튜브 영상에서 수익 창출을 하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라이선스 위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수익 창출이 주된 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허용될 수 있어 해석에 따라 달라진다.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BY-NC-ND) === [[File:Cc by-nc-nd icon.svg|100px|BY-NC-ND]] CCL 라이선스 중 가장 제한적이고 엄격한 라이선스다. 비영리로만 사용해야 하고, 수정도 불가능하다. [[IT동아]]의 기사 등에서 사용하는 라이선스로, 주로 언론사나 공식 기관의 발표문에 사용된다. '''사용 상황''': 원본의 무결성이 중요한 공식 문서, 언론 기사, 연구 보고서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잘못된 정보 유포를 방지하는 목적이 크다. === 퍼블릭 도메인(CC0) === [[File:CC Zero badge.svg|100px|CC0]] 저작자가 법적으로 가능한 모든 권한을 포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라이선스가 적용된 경우 마음껏 지지고 볶아 사용하면 된다. 단, 미국 및 한국법상 저작인격권은 소멸되지 않으므로 자신이 만들었다고 거짓으로 주장하는 행위는 여전히 처벌 대상이다. '''사용 예시''': [https://blog.gaon.xyz 라엘님의 블로그]가 CC0를 사용한 대표적인 사이트다. 정부 기관의 공개 데이터나 과학 연구 데이터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편집 요약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