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국기/세계관: 두 판 사이의 차이

imported>츄위티
imported>츄위티
12번째 줄: 12번째 줄:
== 기본 설정 ==
== 기본 설정 ==
=== 천제와 천의 ===
=== 천제와 천의 ===
천제{{원|天帝}}는 이전의 세계를 멸하고 지금의 세계를 만든 존재로, 모든 것을 천강에 정했다 여겨지는 최고위 신이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여 하늘 그 자체라 보고 하늘이라 불리기도 한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는 이들은 기린이 왕을 선정하는 것이 천제의 뜻이라며 세계를 다스리고 있다고 여긴다.
천제{{원|天帝}}는 이전의 세계를 멸하고 지금의 세계를 만든 존재로, 모든 것을 천강{{원|天綱}}에 정했다 여겨지는 최고위 신이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여 하늘 그 자체라 보고 하늘이라 불리기도 한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는 이들은 기린이 왕을 선정하는 것이 천제의 뜻이라며 세계를 다스리고 있다고 여긴다.


여선{{원|女仙}}들을 총괄하며, 십이국 어느 나라도 아닌 하늘에 속하는 벽하현군{{원|碧霞玄君}} 교쿠요{{원|玉葉}}의 말에 의하면 모든 것은 이치가 있고 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하늘도 또한 조리의 망 속에 있다고 한다. 이치는 아무도 움직일 수 없는 것이고, 그렇기에 시비를 따져도 소용없는 것이라 한다.
여선{{원|女仙}}들을 총괄하며, 십이국 어느 나라도 아닌 하늘에 속하는 벽하현군{{원|碧霞玄君}} 교쿠요{{원|玉葉}}의 말에 의하면 모든 것은 이치가 있고 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하늘도 또한 조리의 망 속에 있다고 한다. 이치는 아무도 움직일 수 없는 것이고, 그렇기에 시비를 따져도 소용없는 것이라 한다.

2013년 12월 21일 (토) 18:49 판

이 문서는 십이국기의 세계관과 십이국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십이국은 산해경(山海経)[1]에 등장하는 신선이나 요마(妖魔)가 존재하는 세계로 문화나 정치형태 등은 고대 중국, 특히 주()와 유사한 모습이다. 절대적인 왕정체제지만 이 왕위는 형제나 부자 세습이 아니라, 각 국의 신수(神獣)인 기린(麒麟)이 천의(天意)에 따라 왕을 선별하는 체제이다. 왕이나 관리는 선적(仙籍)에 들어 신선으로 취급되며 불로장수를 누린다. 왕과 기린, 그리고 그것을 지탱하는 하늘의 뜻이란 무엇인지가 이 작품 전체의 주제다.

창세 신화

본디 세계는 아홉개의 주(九州)와 네 이민족(四夷)의 세력이 얽혀 있는, 지금의 십삼주(十三州)와는 전혀 다른 세계였다. 구주사이(九州四夷)에 사는 사람들의 삶은 너무나도 부조리하고 무질서한 것이었기에 천제가 타일렀지만 누구도 행실을 고치지 않고, 무익한 피를 흘리는 전란의 시대만을 되풀이 하였다. 천제는 그런 세계를 눈 뜨고 볼 수 없어 세계의 모든 것을 한 번 멸한 후 재창조하기로 하였다.

천제가 새로운 세계에 준 것은 다섯 신과 열 둘의 사람으로, 나머지는 전부 알로 되돌렸다. 그리고 세계의 중앙에 다섯개의 산을 만들고 그 주변을 황해라 하여 다섯 신을 용신으로 하여 오산(五山)을 지키도록 하였다. 열 두명의 사람에게는 뱀이 휘감고 있는 세 개의 열매[2]가 달린 가지를 건냈다. 뱀이 가지에서 떨어져 나와 하늘을 지탱하고 세 개의 열매는 떨어져 각각 토지와 나라와 옥좌가 되었고, 가지는 붓이 되었다.

이 창세 신화의 해석으로 뱀은 태강, 토지는 호적, 국가는 법률, 옥좌는 인도, 붓은 역사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이 정설로 취급되고 있다.

기본 설정

천제와 천의

천제(天帝)는 이전의 세계를 멸하고 지금의 세계를 만든 존재로, 모든 것을 천강(天綱)에 정했다 여겨지는 최고위 신이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여 하늘 그 자체라 보고 하늘이라 불리기도 한다. 천의가 천제의 뜻이라 하는 이들은 기린이 왕을 선정하는 것이 천제의 뜻이라며 세계를 다스리고 있다고 여긴다.

여선(女仙)들을 총괄하며, 십이국 어느 나라도 아닌 하늘에 속하는 벽하현군(碧霞玄君) 교쿠요(玉葉)의 말에 의하면 모든 것은 이치가 있고 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하늘도 또한 조리의 망 속에 있다고 한다. 이치는 아무도 움직일 수 없는 것이고, 그렇기에 시비를 따져도 소용없는 것이라 한다.

반면, 천제나 천의가 실제로 있는 것인지 불신하는 이들도 있다. 이는 다른 신들과 달리 옥경에 있는 천제가 한 차례도 그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고, 왕의 선정과 실도 외의 실제 생활에 천의가 관여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이 세계 사람들의 삶이 하늘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늘은 아무리 어려운 자나 나라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지 않으며 나라든, 사람이든 스스로의 힘으로 헤쳐가야 한다.

용어

지리

기후

법령

형벌

관제

민생

교육

십이국

주석

  1. 중국 선진(先秦) 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신화집의 성격을 띄고 있는 인문지리지다. 신화, 지리지라고 해도 전설이나 상상의 생물도 실려있어 기서(奇書)로 분류된다.
  2. 속설로는 복숭아라 한다.